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불교 수륙재의 변용 고찰-세부 의식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the variation of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Focusing on the detailed ritual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8.06
25P 미리보기
한국불교 수륙재의 변용 고찰-세부 의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2호 / 75 ~ 99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운

    초록

    12세기부터는 현재와 같은 수륙재 의문(儀文)을 바탕으로 한국불교 수륙재가 설행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한국불교 수륙재에는 적지 않은 변용이 발견된다. 의문을 톺아보면, 새롭게 편찬되거나 요점이 정리되는 등 현실에 적합한 의문으로 변용되어 현재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수륙재의 설행 양태는 상황이라는 인연을 따라 변용되었지만 그 목적은 불변하고 있음을 Ⅱ장에서 알 수 있었다.
    또, 현재 한국불교 수륙재에서 설행되는 운수상단(雲水上壇)의 보입(補入)과 관음청의 보완 등 상보(相補)되거나, <영산작법>의 대령(對靈)과 시련(侍輦), 신중작법(神衆作法)의 대소창불(大小唱佛) 등의 의식이 새로 편성되었음을 Ⅲ장에서 확인하였다.
    아울러 의례설행 상황의 중시, 의미의 전화(轉化)를 알 수 있었는데, 한국불교의례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견기이작(見機而作)으로 말미암아 변용이 적지 않음을 Ⅳ장에서 알 수 있었다. 의식의 광략(廣略), 변공의식(變供儀式) 차이의 무화(無化), 실제 의식을 사전에 설치하고 의문만을 염송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결국 한국불교 수륙재는 목적은 불변하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인연 따라 의례의식이 보완되거나 새롭게 편제되면서 변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since the 12 th century based upon the same ritual oration (儀文) which changed over time. Examining the ritual orations reveals they newly compiled and summed up slowly changing into realistic ones for today.
    However, from the study of chapter Ⅱ, we can see that its purpose remains unchanged even though the style of practice has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situations. From Chapter III, we determined tha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as currently practiced, always includes Woonsoosangdan (雲水上壇, the upper alter for the cloud and water) and praying to Avalokiteśvara (Gwaneumcheong, 觀音請). The new rituals are organized to include Daeryeong (對靈, the rite of calling the soul in), Siryeon (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in Yeongsanjakbeop (靈山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Vulture Peak ritual) and Daesochangbul (大小唱佛, hailing Buddhas in large or small group) in Sinjungjakbeop (神衆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the ritual for panthe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rituals are held is looked upon as important while the meaning has changed, particularly due to the 'getting wind of something and taking action in advance (見機而作)' which is extensively used in Korean Buddhist rituals. This variation is typified in both complete or partial rituals, the indistinction of the rites for byeongong (變供, changing the offerings), chanting only the ritual oration(儀文).
    In the end,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Suryukjae has not been changed in Korean Buddhism but that the ritual ceremony was modified through time to reflect the circumstances. The ritual ceremony was either replaced or was reorgan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