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영숙의 수필과 ‘의사 허영숙’의 재인식-의사, 민족, 여성 (Heo Young-sook's Essays and a New Understanding of 'Doctor Heo Young-sook'-Doctor, Nation, Wom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허영숙의 수필과 ‘의사 허영숙’의 재인식-의사, 민족, 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7호 / 207 ~ 232페이지
    · 저자명 : 황정현

    초록

    본 논문은 허영숙의 수필을 통해 그의 삶을 관통한 내적 논리를 발견하고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수필을 생애사적 사실과 연관해 분석함으로써 허영숙의 민족의식과 의사의 소명, ‘현모양처’의 접점이 생성되는 지점을 파악해 이것이 뜻하는 바를 살필 것이다.
    허영숙에 관한 기존의 인식은 ‘이광수의 처’와 ‘선구적 여성 의사’라는 이분법적 시각이 주를 이룬다. 그를 이광수의 내조자로 보는 견해가 우세한 가운데, 의사로서 허영숙의 활동은 첫 아이를 출산하기 전까지 짧은 기간을 대상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허영숙의 수필과 생애사를 살펴보면 그가 ‘의사’로서 정체성을 평생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만년에 쓴 장편 수기 「春園과의 한平生」에서 자신이 민족의식에서 비롯된 지식인의 사명감으로 의사가 되었다고 밝힌다. 그가 의사와 기자로 활동하며 발표했던 글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는 의학적 전문성을 토대로 민족 개량과 발전을 논하는 여러 편의 글을 꾸준히 발표했다. 허영숙의 민족의식이 남편 이광수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의사라는 자각은 허영숙이 전업주부로 지내는 동안에도 의학 공부에 대한 열정을 지속하고 훗날 임상 활동에 복귀하게 한 원동력이었다. 그는 일과 가정 중 가정을 선택한 ‘현모양처론의 실천자’로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허영숙은 다수의 글에서 자신과 남편의 관계를 ‘의사’와 ‘환자’로 규정한다. 그에게 남편 이광수는 민족을 대유하는 존재였고, ‘이광수의 처’라는 역할은 자신의 의술로 민족의 인재를 보살피는 일이었다. 허영숙에게 결혼은 ‘여성의 천직’과 ‘의사의 소명’이 교차하는 지점이었다.
    허영숙의 수필에서 발견되는 ‘의사’의 정체성은 그간의 이분법적 평가를 넘어 그의 생애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는 나아가 한국 근대 여성의 생애와 활동을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the inner logic that penetrated the life of Heo Young-sook through her essays and to reveal the meaning of her inner logic. By analyzing her essays in relation to the facts of her life, this paper figures out that she identifies the intersection of her national consciousness, the doctor's calling, and the "present wife." The existing perception of Heo Young-sook is mainly based on the dichotomous view of "Lee Kwang-soo's wife" and "a pioneering female doctor." The prevailing view is that she is Lee Kwang-soo's caretaker. Her activities as a doctor were discussed on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no longer mentioned after she gave her birth her first child. However, her essays indicate that she had maintained her identity as a "doctor" for the rest of her life.
    In an essay written in her old age, Heo Young-sook reveals that she became a doctor with a sense of mission stemming from national consciousness. This is supported by her writings as a doctor and a journalist. Based on her medical expertise, she consistently published article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The awareness of being a doctor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Heo Young-sook's enthusiasm for medical study, which finally made her return to clinical practice later. She was evaluated a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who came to choose a family between her work and her family. However, it turns out that Heo Young-sook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and her husband as a "doctor" and a "patient" as we find in her essays. For Heo Young-sook, her husband, Lee Kwang-soo, was a symbol of the nation, and the role of "Lee Kwang-soo's wife" was to take care of the great man of the nation with her medical techniques. For her, the marriage was the intersection of "woman's vocation" and "doctor's calling." The identity of the "doctor" found in Heo Young-sook's essays provides a clue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er life from various angles, away from the dichotomous evaluation. This can further be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lives and activities of modern Korean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