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국사와 석불사의 유기적(有機的) 관계 재검토 (Re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of Bulguksa and Seokbulsa Monaster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05
32P 미리보기
불국사와 석불사의 유기적(有機的) 관계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31호 / 66 ~ 97페이지
    · 저자명 : 송은석

    초록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 길상좌(吉祥坐) 형의 결가부좌(結跏趺坐), 동면을 향한 좌세(坐勢)를 취한 석불사(石佛寺) 불상은 인도 마하보리사(摩訶菩提寺, Mahābodhi Mahāvihāra) 정각상(正覺像)의 재현작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석불사(石佛寺) 불상의 대좌와 불상의 크기가 마하보리사 정각상과 거의 동일하게 재현된 점은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의 정각상 중에서도 인상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석불사 본존상과 보드가야 마하보리사 정각상의 유사성이 너무 강해서인지, 불상들을 봉안한 두 사찰과 불전의 성격 차이는 그동안 그다지 주목되지 못하였다. 석가모니의 성도지(成道地)에 세워진 마하보리사와 그 내부에 봉안된 항마성도상은 석가의 항마성도(降魔成道)라는 동일한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조형물이라는 맥락을 갖고 있다. 그러나 경주 석불사와 그 전각 내부의 정각상도 과연 항마성도라는 맥락을 유지한 것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의문은 마하보리사 건물과 석불사 건물의 외형과 존상의 구성 등 중요한 요소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보리수(菩提樹), 금강보좌(金剛寶座), 정각상에 대한 기록에 비해 충분하지는 않지만 불전(대탑) 건물에 대한 현장(玄奘)과 왕현책(王玄策) 등 7세기 중국인 여행가들의 기록을 통해 마하보리사 건물의 형태를 유추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여행기를 통해 마하보리사 정각상의 크기를 알고 있었던 석불사 창건자들이 사각추(四角錐)형의 마하보리사 건물과 전혀 다른 형태인 반구(半球)형으로 석불사 불전을 건축한 것은 매우 의도적인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인도와 신라의 두 불상은 항마성도라는 동일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신라의 석불사는 인도의 마하보리사가 갖고 있는 항마성도의 성지라는 성격을 갖고 있지 않을 가능성을 보여 준 것이다. 불상만을 모본으로 삼고 불전은 모본과 다르게 건축한 것은 항마성도지(降魔成道地)의 정각상은 봉안되어야 하였지만, 항마성도지의 마하보리사와 같은 성격은 아니어야 할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필자는 석불사에 마하보리사의 사각추형 불전이 배제되고 궁륭(穹窿)형 불전이 수용된 데에는 석불사와 함께 건립된 불국사와 긴밀한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두 사찰의 관계는 ‘지상(地上) 즉 신라의 불국사, 천상(天上) 즉 천축인의 석불사’라는 유기적이나 상대적인 개념 속에 자리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사각형 평면, 남향, 목조 건물 등 불국사 건물은 지상(地上)을 상징한 것으로 현실세계에서는 신라의 전통 요소들로 표현된 것이다. 반면, 원형 평면, 동향(東向), 반구형 석조 건물 등 석불사 불전 건축은 천상(天上)을 상징한 것으로 현실세계에서는 천축(天竺)의 전통 요소들이 형상화된 것이다.
    불국사는 목조 건물 위주의 건물들이 남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동아시아적’이자 ‘신라적’이다. 그러나, 석불사는 석조 건물 위주의 불사가 동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非)동아시아적’이자 ‘인도적’이다. 신라인들은 신라의 전통문화로 ‘현실세계’를 표현하였으며, 비신라 문화로 ‘천상세계’를 표현한 것으로 이해되며 이들은 비신라 문화란 곧 ‘천축적’인 것과 상통한다고 생각한 것 같다. 불국사가 지상의 현실적 건축이자 신라 땅 위에 있는 건축이라면, 석불사는 천상의 이상적 건축이자 신라 땅이 아닌 천축의 건축인 것이다.
    중국 남북조시대에 성행한 석상(石像)과 천궁상(天宮像)은 각각 석가불국(釋迦佛國)과 도솔정토(兜率淨土)를 나타낸 것이었다. 또한 불국사와 석불사의 관계는 이들 비상(碑像)의 구조와 상통하여 불국사는 지상의 석가불국, 석불사는 천상의 도솔정토로 연결되었다. 또한 8세기 중엽 유가학파에서 화엄학파로 세력의 중심이 이동한 신라 불교계에서 토함산이라는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속에 지상의 석가불국은 ‘화엄불국사’로 현현하였으며 천상의 도솔정토는 ‘석불사’로 현현하여 상호 결합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Buddha statue at Mahābodhi Temple in Bodhgayā, India, is a monumental one created at the place where Shakyamuni (Śākyamuni) attained enlightenment. It is well known as the model for the Buddha statue at Seokbulsa Monastery in Gyeongju.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that the shape of the building is different. While the Mahābodhi Temple has a square plane and square pyramid shape, the main hall of the Seokbulsa Monastery has a circular and hemispherical plane. I believe that the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of the two building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t character between the two monasteries. In other words, the Mahābodhi Temple built in the place where Śākyamuni attained enlightenment and the Buddha statue was enshrined inside share the context in which Buddha’s enlightenment was commemorated. However, the Gyeongju Seokbulsa Monastery and the Buddha statue inside the hall do not share the context of commemorating Buddha’s enlightenment.
    It was a very intentional choice for the founders of Seokbulsa Monastery, who knew the size of the Buddha statue at Mahābodhi Temple through the records of Chinese travelers in the 7th century, to build a semi-spherical building rather than a quadrilateral pyramidal building of Mahābodhi Temple. The Buddha statue at Seokbulsa Monastery in Gyeongju, like the Buddha statue at Mahābodhi Temple in Bodhgayā, has the same background as the event of Buddha's enlightenment. However, the Seokbulsa Monastery, which has a different appearance from the building of Mahābodhi Temple, shows that it does not have the event of Buddha’s enlightenment as the background.
    I think the reason why Seokbulsa Monastery chose to take the form of the hemispherical building instead of the quadrangular pyramidal building of Mahābodhi Temple is closely related to Bulguksa Monastery, which was built along with Seokbulsa Monaste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onasteries is in the closely connected but opposite concept of Bulguksa on the ground and Seokbulsa in the heavens. In other words, the building elements of Bulguksa, such as a square plane, south-facing, and wooden building, symbolize the ground and are manifested in the real world with traditional elements of Silla. On the other hand,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Seokbulsa Monastery, such as circular planes, east-facing, and hemispherical stone buildings, symbolize the heavens and embody the traditional elements of India.
    Bulguksa is very East Asian and Silla-like in that the wooden buildings face south. However, Seokbulsa is non-East Asian or Indian in which the stone building faces east. The people of Silla visualized the real world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of Silla, whereas the heavenly world was represented with the non-Silla culture. And they seemed to think that the non-Silla culture was related to India. The stone statues and heavenly palaces in the steles in the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represented the Pure Land of Śākyamuni and the Tushita Heaven of Maitreya Bodhisattva,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Bulguksa and Seokbulsa is also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se steles. Thus, Bulguksa Monastery is connected to the Pure Land of Śākyamuni on the ground and Seokbulsa Monastery to the Tushita of Maitreya in heav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