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毅齋 許百鍊 南宗畵의 예술심미 고찰 (The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 on the Aesthetic of EuiJae Huh BaekRyun’ Namjonghwa)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0.08
8P 미리보기
毅齋 許百鍊 南宗畵의 예술심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수록지 정보 : 문화기술의 융합 / 6권 / 3호 / 1 ~ 8페이지
    · 저자명 : 김도영

    초록

    호남 남종화의 상징적 거목이자 호남문화의 스승으로 추앙받는 의재 허백련(1891~1977)은 진도출신으로 소치 허련의 방계이며, 미산 허형의 제자이다. 전통 남종화 정신과 그 기법에 충실한 畫格을 自得·自化하였다. 毅齋는 광주에서 ‘鍊眞會’를 발족시켜 후진양성을 도모하였고, 해방 후 무등산 아래 산장을 짓고 다도인으로서, 그리고 민족정신을 강조하고 실천했던 사회교육자로서의 또 다른 면모도 보였다. 그는 한시와 화론에 조예가 깊었고, 서예에 있어서 독특한 심미경지를 구현하는 등 詩·書·畵 三絶의 전형적 서화가였다. 毅齋는 특히 산수화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그의 화풍은 倪黃風의 渴筆로써 기존 화법을 준수하면서도 文氣를 중요시 여겼으며, 脫盡習氣하여 새로운 실험정신으로 끊임없이 도전했다. 毅齋의 작품세계는 화풍이나 추구하는 관점의 변화를 작품에 사용한 落款을 기준으로, 古法과 寫意簡遠의 숙련기였던‘毅齋’시대, 實景과 南畵의 융합 화풍으로 절정기를 보였던‘毅齋散人’시대, 淸談平安한 神品境地 구현으로 독자적 화풍을 이룬‘毅道人’시대 등 총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毅齋의 공헌은 동양회화의 지류인 한국회화문화의 정통 남종화에 대한 한 축을 이어왔다는 미술사적인 평가를 넘어 남도화의 보편적 정신과 지역적 특성을 바탕한 실경과 정서를 살린 창의적 계승을 통하여 현대를 잇는 祖宗이었음을 인식하고, 그의 예술정신과 전통에 대한 열정과 실험정신을 계승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EuiJae Hu BaekRyun is a symbol of Honam Namjonghwa and is respected as a teacher of Honam culture. He is from JinDo and is a relative of Sochi Heo Ryun and a disciple of Misan Heo Hyeong. The spirit of traditional Namjongghwa and the dignity of painting faithful to its technique have been obtained by themselves, and have made it his own. EuiJae organized a 'Yeonjinhoe' in Gwangju to raise his students. After liberation, a house was built under Mudeungsan Mountain. And showed another aspect as a social educator who emphasized and practiced national spirit while being a tea ceremony man. He excelled in Chinese poetry and painting theory, and expressed a unique field in calligraphy. especially worked as an artist good at poetry, caligraphy, and painting. EuiJae showed exceptional talent, especially in landscape painting. His tendency to paint was to follow Ye Chan's technique of drawing with a dry brush, placing importance on the energy of learning, and constantly trying new experiments with the technique of gisaeng. The world of EuiJae'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signature using the trend of painting or the change of perspective pursued, the era of EuiJae, the era of EuiJaeSanin, and the era of EuiDoin, which had a tendency of independent painting. EuiJae's contribution surpassed the artistic historical assessment that he had formed a big stem for the authentic Namjongghwa of Korean painting culture, which was part of Oriental painting. And recognizing that he was a fundamental teacher connecting modern times through the actual scenery based on NamDohwa's universal spiri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ve succession of emotions, he should inherit his passion for artistic spirit and tradition and experimental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기술의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