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경기 개성 지역 석조문화재 보존사업 (Conservation Projects for Stone Pagodas in Gaeseong in Colonial-era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경기 개성 지역 석조문화재 보존사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0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신소연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북한 개성지역 석조문화재 보존사업의 성격과 체계의 변화를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과 공문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초기 고적 조사는 현황 파악을 위한 실제적인 조사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경천사 석탑과 같은 석조문화재가 일본으로 밀반출되거나, 전람회나 박물관에 전시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1916년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이 제정되면서 고적 보존 사업은 조직적으로 진행되었고, 경천사지(敬天寺址) 석탑이 반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순수한 문화재 반환보다는 식민지 조선의 자산 반환과 박물관 전시를 위한 것이었다. 조선총독부는 1918년 일본 동경제실박물관(東京帝室博物館)으로부터 수많은 파편과 함께 경천사 석탑 부재를 반입한 후, 박물관 경내에 경천사 석탑의 복원 건립을 추진하였다. 경천사 탑을 제국의 전리품처럼 조선총독부박물관 앞에 건립하려 하였으나,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모두 철회되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중앙과 지방 관청의 역할 분담이 명확해지면서 세부적인 절차가 마련되는 등 고적 보존사업이 점차 체계를 갖추었다. 지역의 도지사나 군수가 문화재 파손 사항을 조사하여 보고하면 조선총독부에서 보수 비용을 지출하고, 특별히 중요 문화재의 이전 건립이 필요한 경우는 조선총독부에서 조사 위원을 현장으로 파견하여 보존사업이 진행되었다. 흥국사지(興國寺址) 석탑은 조선총독부의 고적 조사 과정에서 보존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개인 소유지에서 개성부립박물관으로 이전된 사례로 보존사업 절차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1930년대 이후의 보존사업 문서에는 신고 내용, 보존 내역, 비용, 사양서와 설계서, 도면, 사진 등 구체적 자료가 첨부되었고,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지방 관청이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보존 공사가 진행되었다. 1937년 현화사지(玄化寺址) 칠층석탑의 폭파・훼손 사건은 조선총독부와 경기도가 추진한 보존사업 과정 전반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제강점기 경기 개성지역 석조문화재의 보존사업은 지정문화재를 관리하고 파손의 위험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성과로 이어지기도 하였으나 보존이라는 미명 아래 관련 유물이 이전 및 흩어지는 한계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s of Japanese conservation projects for stone pagodas in Gaeseong, North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focusing on the official documents and gelatin dry plates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 Japanese survey project on historic remains in Korea was undertaken as a practical investigation attempting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then-present condition of historic remains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It led to the smuggling into Japan of a number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the Stone Pagoda from the Gyeongcheonsa Temple site, or their exhibition at expositions or museums. Conservation projects for historic remains were carried out in a systematic manner after the Regulations on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Remains and Relics were enforced in 1916. The Stone Pagoda from Gyeongcheonsa Temple site was returned to Korea. However, the return of the Gyeongcheonsa Stone Pagoda was conceived as reinstituting an asset of colonial Joseon and displaying it at a museum rather than as a repatri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1918,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rought back to Korea numerous fragments and elements of the Gyeongcheonsa Stone Pagoda from the Tokyo Imperial Household Museum (present-day Tokyo National Museum) and attempted to facilitate the restoration of the pagoda within the precinct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It also attempted to place the restored pagoda in fron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as a trophy of the Japanese Empire. Due to technical difficultie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failed to complete this restoration.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was clarified in the mid-1920s. Accordingly, conservation projects for historic remains became gradually more systemized and detailed procedures were emplaced. After a provincial governor or county magistrate surveyed damaged cultural properties and reported them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was required to pay the costs for repairs. When it was necessary to relocate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dispatched an on-site survey committee to undertake the project. As a case in point, the Stone Pagoda from the Heungguksa Temple site demonstrates the procedures for a conservation project. During its survey on historic remai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discovered a need for conservation of the pagoda and relocated the pagoda from a private estate to the Gaeseong City Museum. Conservation documents created in and after the 1930s contained the contents of a report, details and costs of conservation, specifications, designs, floor plans, and photograph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hared such detailed information with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the conservation work was in progress. The Seven-story Stone Pagoda disassembled and damaged in 1937 at the Hyeonhwasa Temple site is a classic example that shows the full process of a conservation project carried ou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nservation projects for stone pagodas in Gae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roduced fruitful outcomes by maintaining designated cultural assets and preparing measures for responding to the risk of damage. On the other hand, these projects allowed stone cultural properties to be relocated or scattered under the pretense of conser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