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재조명과 역사적 의의 (The Re-examinatio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reat Victory of Jeju along Eulmyo Japanese Invas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02
30P 미리보기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재조명과 역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수록지 정보 : 제주도연구 / 59권 / 297 ~ 326페이지
    · 저자명 : 홍기표

    초록

    1555년(명종 10) 5월, 왜구가 70여 척의 배를 거느리고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를 침략하며 을묘왜변이 발생하였다. 이들은 전라도 일대에 큰 피해를 안기고 퇴각하다 동년 6월 21일 제주 앞바다로 집결하였다. 왜선 40여 척에 약 1,000여 명의 왜구들이 6월 27일 제주 화북포로 상륙하여 곧장 제주성으로 향했다. 제주성 동성(동문)과 산지천을 사이에 두고(현재 남수각) 3일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제주목사 김수문은 70인의 효용군(驍勇軍)을 선발, 선제공격을 감행하였다. 김직손, 김성조, 이희준, 문시봉 등 4인이 말을 달려 적진을 휩쓸었고, 김몽근은 적장을 화살로 쏘아 쓰러뜨렸다. 이후 제주 군민(軍民)은 승세를 타서 추격하며 다수의 왜구를 목 베고 사로잡아 대첩을 거두었다.
    을묘왜변의 전적은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1555.07.07.)에 의하면 ‘영암의 수성(守城)과 제주의 파적(破賊)’으로 기록되었으며, '(제주) 대첩(大捷)'으로 종결되었다. 을묘왜변 제주 대첩은 군관민(軍官民)이 일심동체로 전투에 나섰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였다. 과감한 선제공격과 온전하게 잘 보존되어 있던 병기 등도 승리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을묘왜변 제주 대첩은 제주만의 승리가 아니었고, 조선 을묘왜변의 최종적 승리로 귀결된다. 또한 일본과 한반도 및 중국과 연결되는 해상 요충지 제주를 왜구로부터 지켜냈다는 점에서 당시 동아시아 평화 정착에 큰 역할을 했다. 바로 이 점에서 오늘날 을묘왜변 제주 대첩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Eulmyo Japanese Invasion occurred in May 1555(King Myeongjong 10), Japanese raiders with about 70 ships invading on the south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They gather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on June 21 of the same year after retreating from Jeolla-do to great damage. About 1,000 Japanese raiders with 40 ships headed straight to Jeju Castle through Hwabukpo port on June 27. There was a three-day battle between Dongsung(east gate) of Jeju Castle and Sanjicheon stream(Namsugak). At that time, Kim soo-moon, a Jeju minister, made the first strike, selecting 70-member special forces(驍勇軍). Four of them including Kim jik-son, Kim sung-jo, Lee hi-joon, Moon si-bong swept the enemy lines riding horses and Kim mong-keun shot an enemy general down with an arrow. Since then, the people of Jeju were standing a good chance of winning and had a great victory, cutting many Japanese pirates off their throats and capturing them. This was not just Jeju’s victory, but it resulted in the final victory of Eulmyo Japanese Invasion in Joseon Dynasty. It played a major role in East Asian peace settlement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주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