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육수업 공간인 운동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0.05
26P 미리보기
체육수업 공간인 운동장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 / 13권 / 2호 / 29 ~ 54페이지
    · 저자명 : 전용진, 손천택

    초록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는 장소는 그 곳에 존재하는 사람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공간을 들여다보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일상 공간인 운동장의 문화기술을 통해 학교생활의 맥락 속에서 운동장의 공간적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의 운동장을 1년간 참여 관찰하였으며, 남녀 학생 4명(남2, 여2)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 외에 개방형 설문지, 수업일지, 연구일지, 각종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Huberman과 Miles(1984)가 제안한 귀납적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반복적 수집과 순환적 읽기를 통해 운동장은 첫째, 축구로 운동장을 보려는 왜곡된 그들만의 시선이 있었으며, 둘째, 스포츠가 늘 존재하는 곳에서 신체적 능력으로 겨루면서도 우연으로 승리를 갈망하기도 했다. 셋째, 학교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화된 규율과 그 규율 속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이 공존하였다. 넷째, 학습 공간으로써 기회균등이 주어지면서 성과 신체적 능력, 학년의 위계구조 등으로 차별이 존재하는 곳임을 밝힐 수 있었다. 운동장에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학생들의 문화를 기술함으로써 체육수업 공간으로만 이해되는 운동장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크게 넓힐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lace to give a meaning to person show the identity of the person that exist there. So the researcher tried to take a look the place that students learned, played, and lived in school. Because a particular place shows identity of a pers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spacial meaning of the playground as a daily living space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made participant observations about a middle school playground situated in a Seoul for an year.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made for four middle school students, two males and two females. In addition to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other data collecting methods such as open questionnaire, teaching journal, research journal, and document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by the method suggested by Huberman & Miles(1984). Research participants have a tendency to watch a playground with their own distorted eyes. They also see the playground as a place where students not only compete their physical ability through sports, but desire to gain the chance of winning the game. Middle school students hav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make every effort to escape institutionalized rules designed to maintain orders of the school. Playground in the school is a place where equal opportunities are given, but then physical and sexual differences exist. There also exist hierarchical structure of grades. This study have contributed to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playground only as the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describing multi-layers of student cultures exiting on the play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