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자 모세 사상의 보고(寶庫), 신명기 32장 (Educator Moses’ Thought Repository, Deuteronomy 32)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3.12
43P 미리보기
교육자 모세 사상의 보고(寶庫), 신명기 32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논총 / 28권 / 75 ~ 117페이지
    · 저자명 : 장재

    초록

    모세의 임종이 임박했을 때, 그는 이러한 음성을 듣는다: “그러므로 이제 너희는 가서 이 노래를 써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가르쳐 그들의 입으로 부르게 하여 이 노래로 나를 위하여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증거가 되게 하라”(신 31:19). 따라서, 모세의 노래(신 32:1-43)는 하나님의 노래(Canticum Dei)라고 할만하다. 이른바 모세가 부른 백조의 노래(Moses’ swan song)는 언약 백성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낸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1) 신명기 32장이 신명기 전체, 그리고 신명기 29-32장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2) 신명기 32장에서 모세가 제시한 교육의 핵심내용은 무엇인가? (3) 이스라엘 역사에서 모세의 교육사상은 제대로 전승되었는가? (4) 이러한 논의가 한국교회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신명기 32장은 이전 장들(신 29-31장)과 함께 읽혀야 할 것이다. 올슨(Olson)이 주장한 바대로, 필자는 모압의 새 언약은 신 29-32장에 병행의 형태로 제시되었다고 생각한다. 곧, 29-30장은 의식편이요, 31장은 본문편이며, 32장은 노래편인 것이다. 이로써모압언약을 기억하는 것만이 언약백성 이스라엘이 살 길임을 웅변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그렇다면 신명기는 다음과 같이 네 구분된다고 할 것이다.
    I 모세의 첫 번째 유훈: 역사적 회고와 권면 (1:1-4:43)II 모세의 두 번째 유훈: 시내산 언약규정에 대한 강론 (4:44-28:68)III 모세의 세 번째 유훈: 언약갱신과 미래조망 (29:1-32:52)IV 모세의 네 번째 유훈: 모세의 축복과 저주 (33:1-34:12)네 번째 부분을 모세의 설교라고 하기엔 부적합하므로, 유훈(farewell instruction)이란 통합개념이 나아 보인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신명기 전체는 “설교적인 교육모범”이라고 하겠다.
    모세의 노래의 핵심내용을 파악하기 전, 그 노래의 장르를 살펴본다. 에른스트라이트(G. Ernest Wright)는 모세의 노래를 언약소송이라고 했으나 본문자체의 증거에 의하면 단순히 노래일 뿐이다(신 31:19, 21, 22, 30). 이로써 필자는 모세의 저작권을 강조한다. 모세의 노래가 가르치는 바는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심판 너머의 희망이라고 답할 수 있다. 기억의 도구인 “노래”를 부름으로, 질곡의 골짜기에서도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구축할 수 있었다. 신 32:43절은 이 노래의 절정을 이루는데 이방인들이 하나님 나라에 청함을 받는다. 또한, 반석이신 여호와와 이스라엘 사이의 언약관계가 이 노래의 주된 주제라고 하겠다. 아버지 은유나 독수리 은유, 그리고 9절의 “야곱은 여호와의 기업”이라는 표현등에서 알 수 있다.
    이 노래가 이스라엘 역사를 통해 잘 전승되었다는 사실은 지혜문헌, 선지서, 더욱이 신약에서 잘 드러난다. 사 56:3-8은 이방인과 고자들이 언약백성에 합류함을 보인다. 특별히 안식일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시내산 언약의 표임에 유의해야 한다. 시내산 언약도 은혜언약의일환이라고 하겠다.
    흔히 개혁신학은 언약신학이라고 한다. 모세의 노래에서, 신명기에서, 그리고 성경 전체에서 강조한 바가 언약이란 주제임을 안다면, 적어도 개혁교회는 언약신학에 입각한 교회교육을 지속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Moses’ yearning for the Israelite’s steadfast love toward the covenant Lord, Yahweh. At the threshold of his death, Moses hears this message: “Now write down for yourselves this song and teach to the Israelites and have them sing it, so that it may be a witness for me against them”(Dt. 31:19). Thus, the song of Moses(Dt. 32:1-43) is, in a sense, the song of God, Canticum Dei. The so-called Moses’ swan song reflects God’s love for his covenant partner, Israel.
    The present writer endeavors to answer the following entangled issues: (1)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Dt. 32 in the book of Deuteronomy, (2) the content of Moses’ teaching in Dt. 32; (3) the transmission of the song in the history of Israel, and (4) the implications of these discussions for the Korean churches.
    As to the features of Dt. 32, the writer emphasizes that the song must be interpreted in line with preceding chapters, chapters 29-31. Following Olson, he emphasizes that the new covenant of Moab is presented in three parallel versions within chapters 29-32. Each version deals with worship(chapters 29-30), word(chapter 31), and song(chapter 32) respectively. Then, Deuteronomy is understood as follows:I Moses’ first farewell instruction: historical recollections and exhortations (1:1-4:43),II Moses’ second farewell instruction: discourses on the Sinai covenant stipulations (4:44-28:68),III Moses’ third farewell instruction: covenant renewal and preview of the future (29:1-32:52),IV Moses’ fourth farewell instruction: Moses’ blessing and death (33:1-34:12).
    By doing so, the writer argues that Deuteronomy is to be understood as a sermonic catechesis.
    Before dealing with the content Moses’ swan song, the genre of the song is in view. While G. Ernest Wright understands it as the lawsuit of God, the writer simply views it as song seen in the text itself(Dt. 31:19, 21, 22, 30). Thus the writer focuses on the Mosaic authorship of Deuteronomy as a whole and the song in particular. What, then, does Moses teach in this song? Among others, hope beyond judgment is the answer. Through the song, the beautiful memory aid, the Israelites do not give up their trust in God, in the valley of sorrow. Dt. 32:43 is the climax of the song in that even the gentiles are invited to God’s kingdom. Also, the coven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ock(Yahweh) and Israel is the leading theme.
    This covenant relationship is well attested in Isaiah 56:3-8. Even the Gentiles and the eunuchs are invited to His Kingdom, which is anticipated in Dt. 32:43.TheSabbath theme in verse 4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sign of Sinai covenant. As such, the song is transmitted well in various areas such as wisdom literature, prophetical books, and the NT writings.
    The writer concludes the paper by emphasizing that the Song of Moses is the sum of Deuteronomy, whose essence is covenant. Since Reformed theology is covenant theology, covenant oriented education is to be executed in the Reformed Chu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