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중기 洛中學과 張顯光의 ‘旅軒學’ (Nakjunghak and Jang-Hyeongwang’s Yeoheon Philosoph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3.09
20P 미리보기
조선 중기 洛中學과 張顯光의 ‘旅軒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52호 / 7 ~ 26페이지
    · 저자명 : 홍원식

    초록

    17세기 초 낙동강 중류 일대에는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에 이어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이 등장하여 ‘여헌학旅軒學’을 전개해 감으로써 그들의 ‘한려학파寒旅學派’가 조선 중기 낙중학을 대표하게 되었다. 이 가운데에서도 장현광은 뚜렷한 사승·학맥 연원이 없다는 ‘불유사승론不由師承論’으로부터 ‘한강계승론寒岡繼承論’에 이르기까지 복잡하면서도 논란이 많은 학맥 연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기경위설理氣經緯說’ 등 독창적 성리설과 깊이 있는 역학易學 관련 저술을 남겼다. 그는 10대 후반에 이미 ‘우주사업宇宙事業’이란 뜻을 세워 ‘천하에 제일가는 사람’이 되기를 기약하고 평생토록 오직 이를 위해 외길을 걸어온 그에게서 ‘불유사승’의 모습을 발견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그가 낙중洛中의 동향 선현들에 대한 존모의 마음이 없었던 것은 아니며, 정구를 통해 학맥 연원이 닿은 이황李滉과 조식曺植에 대해서도 당연히 존모의 마음을 가졌다. 그리고 그는 정구와 ‘명체적용明體適用’의 학을 함께 도모하면서, 정구가 ‘적용’의 학 방면에 큰 성취를 이루었다면 그는 ‘명체’의 학을 더욱 강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그것은 역학과 성리학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구체화되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의 이러한 역학과 성리학 방면의 깊은 연구가 단순히 이론적 천착의 결과가 아니라 그 자신의 인생 목표였던 ‘우주사업’ 실현이라는 실천적 도학道學의 연장선에서 이뤄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결국 그는 도학이라는 학문적 바탕 위에서 자신의 예학禮學과 역학, 성리학 등을 펼쳤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the 17th century, Yeoheon Jang-hyeongwang after Hangang Jeong-gu made an appearance and developed Yeoheon philosophy in the whole area of Nakdong-river midstream so that their Han-Yeo school was representative of Nakjunghak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Jang-hyeongwang had controversial and complex the origin of academic clique from ‘assertion that does not come from the teacher whom specifies(不由師承論)’ to ‘assertion of succeeding to Hangang(寒岡繼承論)’, wrote ‘theory of Yi-Ki-gyeong-wi(理氣經緯說)’ and works which associated with divination-science(易學). We can discover ‘assertion that does not come from the teacher whom specifies’ in him that he sets an aim of ‘universal work’ and promises to become ‘the best man in the world’ in his late teens, however, this is not to say that he does not have respect for ancient sages of the same place of Nakdong-river midstream, he had respect for Yi Hwang and Jo Sik that the origin of academic clique is connected through Jeong-gu. And he plans ‘Enlightenment of reality and Proper revelation of virtue(明體適用)’ with Jeong-gu, that Jeong-gu achieved ‘Proper revenlation of virtue’ and he reinforced ‘Enlightenment of reality’. It was crystallized into insightful study for neo-confucianism. Here, we can see that his study for divination-science and neo-confucianism is not only result of theoretical delving but accomplished in a continuation of practical Dohak(道學), realizing ‘universal work’ which is his own goal of life. Finally, he put forth his own Yehak, divination-science and neo-confucianism on scientific base which is Do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