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암 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老莊思想 고찰 (A Study on LaoTzu and ChuangTzu’ Thought in Yeonam Park Jiwon's Nove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9.11
32P 미리보기
연암 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老莊思想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51권 / 145 ~ 176페이지
    · 저자명 : 강민경

    초록

    본고는 연암 박지원의 대표작인 「호질」과 「허생전」에 나타난 연암의 노장사상을 살펴, 연암 사상의 풍부함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연암 문학에 나타난 도가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암은 젊은 시절부터 노자와 장자를 섭렵하고 풍부한 이해에 도달해 있었다. 특히 연암은 차별적 세계관을 극복하는 방편으로 도가사상을 적극 끌어들였다. 차별을 전복하는 도구로 똥이라는 기호를 활용했다. 연암은 장자의 똥과 기와조각, 벽돌을 활용해 차등적 세계관을 전복하거나 새로운 인간관을 제시하였다. 연암은 유학의 세계관에서는 존재의 차별을 극복할 만한 마땅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 그리하여 도가의 세계관에서 차별적 세계관을 극복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암의 도가적 세계관이 그를 대표하는 소설에서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호질」에서는『장자』에 나오는 ‘발총지유’와 「胠篋」「盜跖」편과의 관련성을 살폈다. 연암은 북곽 선생을 통해 발총지유의 행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장자』의 「거협」「도척」편은 유가의 예법과 윤리를 비판하고 위선을 버리고 천성대로 따르는 삶을 살아가라고 말한다. 「호질」의 주제 역시 인간과 자연이 평화롭고 소박한 삶을 영위해가야 한다고 말한다. 곧 「호질」은 자연을 표상하는 범을 통해 인간의 사욕과 위선을 풍자한 작품이다. 연암은 유학자들의 위선과 아첨, 인간의 사욕과 야만성에 깊은 문제의식을 느끼고 도가사상을 끌어와 인간의 허위성을 폭로하였다. 「허생전」에서는 무인도에 나타난 노장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허생의 섬은 유교의 지식 체계와 예법 체계를 부정한 공간이었다. 이는 無知와 無爲를 지향하는 노장사상과 통하고 있었다. 또한 무인도의 모습은 노자의 小國寡民과 장자의 至德之世를 닮아 있었다. 따라서 허생이 말한 德은 유가의 덕보다는 도가의 덕과 더욱 가까웠다. 연암의 소설에 나타난 노장사상의 흔적은 도가사상이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를 잘 말해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richness of Yonam's thoughts by examining Yonam's Taoist ideology in Yonam Park Ji-won's representative works, 『Hojil』 and 『Heaengjeon』. First, the relationship with Doga in the Yeonam literature was examined. Yeonam has reached a rich and understanding of Lao-tzu and Chuang-tzu since childhood. In particular, Yonam actively attracted Taoist ideology as a way of overcoming the differential worldview. He used the symbol of shit as a tool to overthrow discrimination. Yeonam overthrew the differential worldview or suggested a new human view by utilizing the dung, shit, and brick of the eldest son. Yeonam overthrew the differential worldview or suggested a new human view by utilizing the dung, shit, and brick of the eldest son.
    Yeonam found no good reason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of existence in the worldview of studying abroad. Thus,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discriminatory worldview in the Taoist worldview. Based on this, I examined how the fictional worldview of Yeonam is revealed in his novel. In 「Hojil(호질)」,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lchongjiyu(발총지유)’ and 「geohyeob(거협)」, 「docheog(도척)」.
    Yeonam showed the behavior of ‘balchongjiyu(발총지유)’ in detail through Buggwagseonsaeng(북곽선생). The chapter of 『Chuang-tzu』 , 「geohyeob(거협)」, 「docheog(도척)」, tells us to criticize the statutes and ethics of Confucian, to give up hypocrisy and to live according to nature. The theme of 「Hojil」 also says that humans and nature should go for a peaceful and simple life. In other words, 「Hojil」 is a work that satirizes human desire and hypocrisy through the tiger, the symbol of nature. Yeonam had a critical mind on the hypocrisy and flattery of the Confucian scholars, human desire and brutality, and brought out the Taoist ideology to expose human falsehood.
    In 「Hesheonjeon」, we looked at the Taoist statues on the desert island. The island of Hezeun was a space that denied Confucian knowledge and courtesy systems. This was connected with the idea of ​​Tao that aims for ignorance and nothing. Also, the uninhabited island resembles Lao-tzu's small country-a small people and Chuang-tzu’s ‘Jidukjise(至德之世)’. Thus, virtue that Hesseng said was closer to the Taoism than to the Confucianism. The traces of the Taoist thought in Yeonam's novels tell us how great the influence of Taoist thoughts on the intellectu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