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옹의 탄생과 장육사의 역사 (Birth of Naong, a monk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history of Jangyuksa Temple in Yeongdeok.)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2.04
27P 미리보기
나옹의 탄생과 장육사의 역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1호 / 63 ~ 89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본고는 나옹의 탄생과 장육사의 역사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나옹의 성씨는 아씨(牙 氏)라고 알려져 있으나 중국 등에 존재하고 있어서 고려말 이전에 영덕에 정착한 귀화성인 듯하다.
    장육사 관련 기문이 20편 이상이 되지만 나옹이 장육사를 창건하였다는 기록은 「장육사흥원루중수기(莊陸寺興遠樓重修記)」(1937년 작)에서 찾아지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믿을 수밖에 없다. 장육사에 봉안된 건칠관음보살좌상(乾漆觀音菩薩坐像)의 불상은 인근 영덕의위장사에서 소장된 것을 이전 봉안된 것이다. 필자는 불상 불복장 명문에 보이는 승려가운데 각홍(覺洪)과 각청(覺淸), 각환(覺還), 신암(信庵, 信嵓) 등은 나옹의 제자였다고 비정하였다. 특히 각청은 도은 이숭인이 지은 「여흥군 신륵사대장각기」에 영해(寧海)에서 시주하였는데 닥나무를 원료하여 종이를 만드는데 참여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나옹의 문도들이 나옹을 추념하기 위해 조성한 위장사의 건칠 불상을 장육사에 봉안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추정된다. 장육사는 조선 후기에 유자들에 의하여 장육사(藏六寺)라고도 불리며, 조선후기 해담(海炎)과 극순(克順) 등의 승려들이 활동하며 영덕의 불교를 대표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examining the birth of Naong, a monk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history ofJangyuksaTemple(藏陸寺)in Yeongdeok.
    Monk Naong seemsto have settled in Yeongdeok before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t should be said that the monk Naong left Yeongdeok as a child or returned to his hometown and left for the temple at the age of 20.
    Since the record that monk Naong founded Jangyuksa Temple is found in modern records, it is questionable whether Naong actually founded Jangyuksa Temple. The Buddha statue currently housed in Jangyuksa Temple was transferred to Jangyuksa Temple after being located in the nearby temple, Uisangsa Temple. Among the monks found in the Buddha statue, I believe that monk Gakhong, monk Gakcheong, monk Gakhwan, and monk Sinam were disciples of Naong. In particular, Buddhist monks' Gakcheong participated in making paper using mulberry trees in Yeongdeok, according to records written by Lee Sung-in, a literary ma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t is presumed that the Buddha statue of Uisangsa Temple, which was created by Naong's disciples to commemorate Naong in the 18th century, was relocated to Jangyuksa Temple, which was founded by Naong, a monk.
    Jangyuksa Temple was also called Jangyuksa Temple(藏六寺)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nks and others were active. Judging from these facts, it can be said that it represents Buddhism in Yeongde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