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而已广 張混 漢詩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보완적 고찰 (A Complementa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of Jang Hon(張混)’s Poems in the Chinese Style)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2.10
54P 미리보기
而已广 張混 漢詩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보완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30호 / 291 ~ 344페이지
    · 저자명 : 김동준

    초록

    본고는 기본 연구 성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면에서 而已广 張混의 시문학을 재조명한 결과이다. 그 셋은 (1) 장혼 시문학에 내포된 자기 서사의 여정 (2) 詩社 활동과 공동체 만들기의 욕망 (3) 장혼 시문학의 대표작과 그 성격이었다. (1)에서는 <述貧詩> 계통의 작품을 검토했으며, (2)에서는 聯句의 현황 및 陶淵明의 用事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고, (3)에서는 『風謠續選』, 『大東詩選』 등의 선발 작품에 유의하되 장혼의 삶에 밀착된 시 작품의 특성을 살폈다.
    3장 본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3장 1절 「자기 서사의 행로와 이루지 못한 은퇴」에서는 그가 한평생 <述貧詩>(30대작), <自述>(40세작), <客至>(노년작)를 비롯하여 자기 서사적인 작품을 지속적으로 남겼으며, 가난이 초래한 고난 및 은퇴에의 염원 등을 중심 소재로 삼았음을 파악하게 되었다. 가난을 벗어나 평화로운 은퇴를 바랐던 꿈은 그러나 생을 마칠 때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는 생의 마지막 단계까지 경제적 곤란을 해결하기 위해 애썼고 그 노력이 여러 시편에 편재되어 있다. 3장 2절 「시사 활동과 공동체 만들기의 욕망」에서는, 그가 玉溪社 및 松石園 詩社의 구성원들과 합작한 聯句를 통해 중인 시인들의 유대 양상을 검토했으며, 여기에서 나아가 평화로운 마을 만들기의 욕망이 여러 시편에 점철되어 있음을 조명하였다. 여기에는 도연명의 남촌 마을 이미지가 투사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3장 3절 「장혼 한시의 대표작과 핵심적 경향」에서는 시선집에 선발된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대표작이 지닌 경향을 분석했는데, 憂・樂이 동반된 내용과 시적 형상화 능력이 능숙하게 결합되어 있었음을 추출할 수 있었다. 늘 모자라고 고생스러운 현실에서 주어진 결함을 수용하며 의연해지고 너그러워지려는 자세가 장혼 한시의 진수라고 보았다.
    본고는 개별 존재로서의 고투가 저마다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는 입장에서 장혼 한시의 긍정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했다. 그는 가난・신분・불구의 삼중고가 짓누르는 생존 환경 속에서도 성실하고 정직하게 살았으며 많은 수량의 시를 그 안에서 생산해 내었다. 매일매일 작지만 소중한 것들을 지키며 생애 내내 희망을 찾으려 노력했던 장혼의 시문학은, 직업과 가족과 개인의 꿈 사이에서 존재의 이유를 되물어야 하는 오늘날의 우리들에게도 깊은 공감을 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reexamining Jang Hon(張混: 1759-1828, pseudonym is Yiyieom 而已广)'s poetry literature in three ways to supplement the basic research results. The three are (1) the journey of self-description contained in Jang Hon's poetry literature (2) activities of poetry society and the desire to create a community (3) Jang Hon's representative work of poetry literature and its character.
    The content of the body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The Path of Self-Description and Unfulfilled Retirement," I found that he continued to leave his narrative works throughout his life, and focused on the hardships caused by poverty and the desire for retirement. Here, I also mentioned that, despite his aspirations, he did not achieve his dream of retirement until old age, and that his efforts to solve economic difficulties until his death were left in many poems.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body, "Activities of Poetry Society and the Desire to Create a Community," I reviewed the ties of Jungin (中人: middle class people) poets through couplet poems, which he collaborated with poetry society members of Okgyesa (玉溪社) and Songseokwon (松石園), and highlighted his desire to create a peaceful village in many poems. I could see that the image of Tao Qian (陶潛: 365-427)'s southern village was projected in these poems. In the third verse of the main body, "Representative Works of Jang Hon’s Poems in the Chinese Style and Their Core Trends," I analyzed the trends of his representative works by focusing on the works contained in his anthology of poem, revealing that the mixture of anxiety and delight is closely combined with the expressive ability of the work. I saw that the attitude to accept and be generous with a given defect in the insufficient and painful reality was the high level of Jang Hon’s poems in the Chinese style.
    This article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positive value of Jang Hon’s poems in the Chinese style from the standpoint that each individual being has a special value. He lived faithfully and honestly in a survival environment weighed down by various hardships and produced many poems in it. Jang Hon's poetry literature, which has tried to find hope throughout its life while protecting small but precious things, also deeply sympathizes with us today, who have to ask the reason for existence between jobs and family and individual drea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