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습민첩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잡크래프팅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earning Agility on Creativity: Focusing on the Multi-mediated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Job Craft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4.08
29P 미리보기
학습민첩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잡크래프팅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7권 / 8호 / 1307 ~ 1335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김재명

    초록

    본 연구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구성원의 학습 민첩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습민첩성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지식 공유와 잡 크래프팅의 다중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이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지식 공유와 잡 크래프팅의 다중매개 역할을 실증하고자한다. 특히, 실무적인 관점에서 학습 민첩성, 지식 공유, 잡 크래프팅의 향상을 통해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 방안을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제조, IT업, 금융업, 서비스업, 기타 업종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설문을 제거한 후 292부의 설문지를 유의한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학습 민첩성, 지식 공유, 잡 크래프팅, 창의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 데이터의요인 분석을 진행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은 SPSS 26.0과 AMOS 26.0으로 변수 간의연관성을 살펴보았으며, Process Macro 3.1을 활용하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는첫째, 학습 민첩성은 지식 공유, 잡 크래프팅, 창의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식 공유는 학습민첩성과 창의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잡 크래프팅 또한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학습 민첩성과 창의성 사이에 지식 공유와 잡 크래프팅은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학습 민첩성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지식 공유와 잡 크래프팅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민첩성이 지식 공유와 잡 크래프팅을 거쳐 창의성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실증 분석하여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습 민첩성의 연구영역을 확장했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성원의 학습민첩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과 직무 설계를 강화하는 자율성을 갖춘 업무 환경 조성과 관련한 실무적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s AI technology continues to advance,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agility is becoming more prominent compared to knowledge and skill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learning ag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creativity. Additionally, it seeks to analyze the multi-mediated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creativity.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study proposes ways to enhance employees' creativity by improving learning agil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crafting.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IT, finance, services, and others.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29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significant sampl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ories related to learning agility, knowledge sharing, job crafting, and creativity,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tested as follow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rvey data to analyze reliability and validity.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multi-mediated effect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3.1.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g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sharing, job crafting, and creativity. Second, knowledge sharing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learning agility and creativity. Third, job crafting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creativit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knowledge sharing and job crafting each have a mediated effect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creativity, and the multiple mediated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creativity were verified.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ssence of variables by dissecting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the process where learning agility affects creativity.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employee initiative is essential. By verifying the multiple mediated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job crafting, which are variables based on initiative, this research seeks to uncover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learning agility influences creativity. The goal is to provide theoretical insights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organiz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ffer practical insights by suggesting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employees' learning agility and creating a work environment with high autonomy to increase job crafting, as interest in learning agility among companies is growing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t is essential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harness their creativity to discover and propose new products and ideas. To achieve this, companies should establish communication channels where employees can suggest ideas and form tea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se proposals. Additionally, companies need to develop internal systems for commercializing and implement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while also providing intrinsic motivation to encourage voluntary and autonomous participation in these systems. Conducting regu lar training and informational sessions for managers and employees regarding corporate policies will provide a crucial foundation for preparing the company’s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