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신문』 잡보란 연구 -신자료 지면확대판(1907.5.17~1909.2.28)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scellaneous Paragraphs of 『JeGukShinmun』-Focus on The New Materials of The expand space Version(1907.5.17.~1909.2.28)-)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10
39P 미리보기
『제국신문』 잡보란 연구 -신자료 지면확대판(1907.5.17~1909.2.28)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3호 / 155 ~ 193페이지
    · 저자명 : 강현조

    초록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제한적인 접근만이 가능했던 1907년 5월 17일부터 1909년 2월 28일까지의 『제국신문』 발행분 중 잡보란 기사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및 같은 시기에 발행되었던 순국문판 『대한매일신보』와의 기사 비교 분석을 통해 이 시기에 발행되었던 여타의 근대초기신문과 구별되는 『제국신문』의 매체적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전문(全文) 입력 파일을 토대로 하여 월별 기사 건수 및 분량 통계를 분석한 결과 신문사의 재정적인 상황과 기사량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정간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기사량은 감소세를 보였다가 재정 문제의 해결로 속간이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정론성과 계몽주의적 이념을 표방하는 경향이 강했던 근대초기신문의 경우도 물적 토대의 뒷받침 없이 매체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는 힘들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이 논문에서는 의병과 여성 등 특정 주제어를 중심으로 지면확대판 『제국신문』 잡보란 기사와 같은 시기에 발행되었던 순국문판 『대한매일신보』와의 기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의병’이라는 단어의 경우 등장 횟수 및 분량에 있어서는 『제국신문』과 『대한매일신보』 사이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용법에 있어서는 두 신문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제국신문』은 의병을 비도 혹은 폭도로 지칭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 반면 『대한매일신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드물었다. 또한 『제국신문』의 경우는 1908년 7월 이후부터는 의병을 부정적으로 규정하는 표현을 일관되게 사용한 데 비해 『대한매일신보』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이 같은 사실은 『제국신문』이 『대한매일신보』에 비해 의병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아가 통감부로 대표되는 일제 당국의 정책에 더 순응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는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두 신문의 차이가 여성 관련 기사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긍정적인 내용의 기사에 등장하는 ‘부인’과 ‘녀ᄌᆞ’는 물론이거니와 부정적인 내용의 기사에 등장하는 ‘계집’과 ‘쳡’이라는 단어 모두 『제국신문』이 『대한매일신보』에 비해 빈도와 분량면에서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같은 국문 신문이라 하더라도 지면확대판 『제국신문』이 여성 독자층을 좀 더 중시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었다는 판단을 통계적으로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국신문』이 교육과 계몽을 다룬 긍정적인 내용의 기사뿐만 아니라 선정적이거나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유도할 수도 있는 기사의 산출에도 적극적인 신문이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부정적 기사의 경우 서사적 구성을 갖춘 장형화 사례들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조사 결과 약 40건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사들은 해당 사건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과 함께 독자들의 주목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여기에는 비판과 경계를 통한 교훈의 전달이라는 계몽적 의도보다는 선정적인 소재와 내러티브의 활용을 통해 독자의의 흥미 내지는 신문 구매 의사를 조장하기 위한 상업주의적 전략이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 character of 『JeGuk Shinmun』 especially about the miscellaneous paragraphs from May 17, 1907 to February 28, 1909 which is the new materials of the expand space version.
    First, based on a full set of input files, analysis of monthly accounts and quantity statistics revealed that there is a constant correlation between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newspaper and the quantity of articles. This implies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modern newspaper, which was highly influenced by politics and enlightenment ideology, it was difficult to fulfill its functioning as a medium without financial foundation.
    In addition, in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arison with the specialized input files of the expand space version of 『JeGuk Shinmun』, and 『DaehanMaeilsinbo』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JeGuk Shinmun』 and 『DaehanMaeilsinbo』, but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newspapers in the use of the word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The fact is that 『JeGukShinmun』 is relatively more pessimistic about the army than 『DaehanMaeilsinbo』, which makes it more likely that the Japanese authorities were more likely to be more malleable toward the Japanese authorities.
    N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wspapers confirmed that they were clearly revealed in the female news article. Words that indicating women in 『JeGukShinmun』 were equally high in terms of frequency and quantity compared to 『DaehanMaeilsinbo』. The fact is that even though the paper is the same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paper, it supports the judgment that 『JeGuk Shinmun』 tend to value women's readership more strongly.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JeGukShinmun』 is active not only about positive articles but also on the production of a sensational article that could lead to negative thoughts.
    In these negative articles, many cases of dated narrative for mation were found, confirming that the findings were found to be about 40 cases. These articles have generated the effect of arousing the reader's attention to the attention of the reader, which sug gests that it is more likely that the use of selective materials and a commercial strategy to promote readers' willingness to buy a newspaper through the use of provocative materials and narratives rather than the enlightening and the awareness of the lessons lear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