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시기, 한국사회는 아이들을 잘 돌봐왔는가? 초등 돌봄 제도와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During the Pandemic, Has Korean Society Taken Good Care of Children?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Care System and Distance Educ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2.06
41P 미리보기
팬데믹 시기, 한국사회는 아이들을 잘 돌봐왔는가? 초등 돌봄 제도와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113호 / 208 ~ 248페이지
    · 저자명 : 최이숙, 황선영

    초록

    팬데믹의 상황은 사회의 취약한 부분을 그대로 드러냈다. 인간의 삶에 필수적 활동인 돌봄 역시 예외는아니었다. 이 글은 지난 2년간 반복되었던 학교 폐쇄, 부분등교, 그리고 원격 교육 시행이라는 일련의 변화를 ‘돌봄’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의 자기문화기술지, 온라인 단체 채팅방에 대한 참여관찰, 초등학교 저학년 양육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공교육 체제의 성립 이후 학교는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제도로 자리하였다. 학교는 계급, 인종, 젠더가 맞물린 돌봄 불평등을 완화하는 제도이자 교사와 학생, 학생들 상호 간의 돌봄 수행과수혜가 이뤄지는 정서적 공간이었다. 학교 폐쇄, 원격 교육의 시행은 그동안 아이들의 생존을 위해 학교가 해왔던 돌봄 기능(급식, 아동학대 감시, 보건 등)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동일한 시간대 교실에서 진행되던 학습 및 여타 활동을 미디어가 매개하면서, 교사와 아이들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었고, 아동의 원활한 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을 일정 부분 수행할 새로운 돌봄자가 필요하였다. 특히 이전까지 ‘놀이’, 오락‘의 도구로 활용되거나 이용이 제한되었던 미디어가 ’학습‘이라는 맥락 속에 활용되면서, 아이들이 학습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돌봄‘이 더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원격 학습을 통해 가정과 학교 간의경계가 허물어지면서 교육 주체들(교사, 학부모, 학생) 간의 상호 돌봄 실천의 의미와 중요성은 커져갔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팬데믹 상황에서 우리 사회가 아이들을 잘 돌보기 위해서 변화해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situation of the pandemic has exposed the vulnerable parts of society. Caring, an essential activity in human life, is no exception.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series of changes of school closures, partial school attendance, and distance education that have been repeated over the past two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caring’.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elf-cultural descriptive journals of researchers, observation of participation in online group chat rooms, and interviews with care-giv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schools have become an important social system where anyone can receive education. Schools were a system that alleviated care inequality intertwined with class, race, and gender, and an emotional space where teachers, students, and students could perform and benefit from each other's care. School closures and the implementation of distance education raised the caring functions (feeding school meals, child abuse monitoring, health care, etc.) As the media mediates learning and other activities that took place in the classroom at the same time, teachers and children are spatially separated. For the smoother education of children, a new care-giver was needed to play the role of a teacher. In particular, as media, which had previously been used as a tool for ‘play’ or entertainment’ or whose use was limited, was utilized in the context of ‘learning’, ‘caring’ was inevitably more necessary for children to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As the boundaries between home and school are blurring through distance learning,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practicing mutual care among educational entitie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as gr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direction that our society should change to take good care of children in the post-pandemic situation was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