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별적인 시선들: 일제의 3.1운동 탄압과 잔학행위에 대한 영국의 반응 (Different Discriminatory Views: Britain’s Response to Japanese Atrocities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2.04
35P 미리보기
차별적인 시선들: 일제의 3.1운동 탄압과 잔학행위에 대한 영국의 반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77호 / 331 ~ 365페이지
    · 저자명 : 권의석

    초록

    본고는 영국 외무성의 문서를 분석하여 3.1운동 당시 일제가 저지른 잔학 행위에 대한 영국의 반응과 그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910년대 영국은 조선총독부가 가지고 있는 반기독교 정서에 대한 우려와 일제의 식민 통치 역량에 대한 의구심이 들고 있었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영국은 일제의 무단 통치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며 자유주의적 개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였다.
    일본은 이를 수용하여 1919년 8월 조선 식민 통치 방식을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전환하고 태형을 폐지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일본 경찰에 의해 잔학 행위가 외국인에 대한 적대행위가 이어지는 데다, 특히 1920년 후반 영국의 민권 단체와 언론이 일본의 잔학 행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당시 동맹국인 영국에 책임을 묻기 시작하자, 영국 외무성 역시 조선 내 일제의 잔학 행위 문제를 들어 영일동맹의 가치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결국 이 문제가 영국이 영일동맹을 폐기하기로 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영국 역시 자국 식민지에서 유사한 잔학 행위로 논란이 있음에도 일본에 대해서는 다른 잣대를 들이밀어, 위선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한계도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Britain's response to Japanese atrocities committed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by analyzing Britain's Foreign Office documents. In the 1910s, Britain doubted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capabilities to govern colonial Korea as a "guardian" and was concerned about their anti -Christian sentiment. In 1919, when the March First movement occurred, Britain pointed out that Japan's militarist colonial government lacked the representation of the native Koreans and suggested a liberal reform that would bring a civil government to Korea.
    Japan accepted this suggestion, and in August 1919, they announced the refor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took more conciliatory measures, including the abolition of flogging. However,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continuously committed atrocities in Korea despite the announcement. Furthermore, later in 1920, British human rights societies and newspapers paid attention to Japanese atrocities and questioned whether or not Britain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ally's action. It eventually argued against the renewal of the Anglo-Japanese Alliance. Although Britain played an essential role in pressuring Japan to change its violent policies, their actions were mainly intended to defend the safety of Britons in Korea and save Britain's prestig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