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잔여지 보상 법제와 비교법적 연구 (Comparative Legal Study on the Compensation for Remaining Land in Japan)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4.11
49P 미리보기
일본의 잔여지 보상 법제와 비교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6호 / 111 ~ 159페이지
    · 저자명 : 황선훈

    초록

    일본 헌법 제29조 제1항은 재산권의 불가침과 사유재산제도의 보장을 선언하며, 제3항은 사유재산의 공공 사용을 정당한 보상 하에 허용하고 있다. 일본은 토지의 취득 또는 사용에 대한 보상기준을 임의취득 보상기준과 토지수용법상의 손실보상 규정에 따른 법정기준으로 구분한다. 토지수용법의 법정기준은 최후의 수단으로 간주되어 임의취득을 전제로 하며, 이는 한국에서 수용재결 전에 사업시행자와의 협의를 요구하는 것과 유사하지만, 일본은 임의취득 단계에서 적용되는 보상기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본 토지수용법은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 등의 수용 또는 사용과 관련된 요건, 절차, 효과 및 이에 상응하는 손실보상을 규정하여 공공복리의 증진과 사유재산의 조정을 도모함으로써 국토의 적정하고 합리적인 이용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잔여지 보상 규정으로는 제74조 잔여지 감가보상, 제75조 공사비용 보상, 제76조 잔여지 수용청구권이 있다.
    제74조는 잔여지 감가보상의 요건과 보상액의 산정 방법을 규정하며, 일단의 토지 일부가 수용되거나 사용되어 잔여지가 부정형이 되거나 면적이 협소해져 단위당 평균가액이 하락하는 경우 그 감소분을 보상하도록 한다. 이는 수용 전후 토지소유자의 재산가치를 동일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완전보상의 입장에서, 규정이 없어도 당연히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제75조는 수용으로 인해 분리된 잔여지를 종전의 용도대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공사비용을 보상한다. 원래 잔여지 공사비용 보상은 제74조 잔여지 감가보상에 포함되어야 하지만, 개별 사례의 다양성과 포함 여부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한국과 달리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제76조의 잔여지 수용청구권은 완전보상의 일환으로 이해되며, 일반 수용과 동일하게 취급된다. 그러나 그 본질은 손실보상제도의 일부로서, 일반 수용과 다른 법리를 적용해서는 안 된다. 제76조 제2항은 토지소유자 외 권리자의 지위를 법제화하여 논란을 해소하고 있으며, 제3항은 1971년 가격고정제 도입에 따라 추가되었다.
    일본과 한국의 잔여지 보상 규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일본에서는 잔여지 감가보상을 완전보상의 관점에서 규정이 없어도 당연히 인정되어야 한다고 보며, 사업손실에 대해서도 보상해야 한다는 것이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다. 반면 한국에서는 잔여지 감가보상이 사업시행자와의 협의를 전제로 하는데, 이는 토지소유자의 권익 보호 측면에서 불합리하며, 완전보상의 관점에서 잔여지 가치하락을 보상하기 위해 해당 조항의 삭제나 수용재결 이후 적용으로의 수정이 바람직하다.
    둘째, 일본에서는 제74조 잔여지 감가보상과 제75조 공사비용 보상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중첩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실제로 두 보상을 합하여 실시한 사례도 있다. 한국은 두 보상을 「토지보상법」 제73조에서 규율하고 있지만, 중첩 문제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다.
    셋째, 일본은 잔여지 감가보상을 청구권 형태로 취하지 않고, 제88조와 제88조의2에서 손실보상에 관한 세목으로 규정하여 사업시행자가 고려해야 하는 보상으로 본다. 또한, 편입토지의 수용에서 잔여지 감가보상이나 공사비용 보상이 제외되지 않도록 제39조 제2항에서 반드시 포함하도록 법에 명시하고 있어 한국과 차이가 있다.

    영어초록

    Article 29, Paragraph 1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declares the inviolability of property rights and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while Paragraph 3 allows the public use of private property under just compensation. Japan distinguishes between compensation standards for voluntary acquisition and statutory standards under the Land Expropriation Act for cases of land acquisition or use. The statutory standards in the Land Expropriation Act are regarded as a last resort, predicated on voluntary acquisition, which, although similar to the requirement for consultation with the project operator in Korea before an expropriation decision, differs in that Japan actively utilizes the compensation standards applicable in the voluntary acquisition phase.
    The Japanese Land Expropriation Act stipulates the requirements, procedures, effects, and corresponding compensation for the expropriation or use of land necessary for public projects, aiming to contribute to the appropriate and rational use of the nation’s land by promoting public welfare and balancing private property rights. The compensation provisions for remaining land include Article 74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Article 75 (Compensation for Construction Costs), and Article 76 (Right to Request Expropriation of Remaining Land).
    Article 74 provides for the conditions and calculation methods of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It compensates for the decrease in value when part of a parcel is expropriated or used, leaving the remaining land irregularly shaped or reduced in area, resulting in a drop in unit value. This reflects the principle of full compensation, maintaining the property value of the landowner before and after expropriation, which is widely accepted as a given even without specific statutory provisions.
    Article 75 provides for compensation of construction costs necessary for utilizing the separated remaining land in its original manner after expropriation. While compensation for construction costs of remaining land should ideally be included in Article 74 compensation, it is separately stipulated in Japan due to diverse cases and the ongoing debate on whether it should be included within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unlike in Korea.
    The right to request expropriation of remaining land under Article 76 is understood as part of full compensation and is treated equivalently to general expropriation. However, its nature serves as an asp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not as an application of different principles from general expropriation. Article 76, Paragraph 2 legislates the status of rights holders other than the landowner to eliminate disputes, and Paragraph 3 was add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fixed-price system in 1971.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ensation provisions for remaining land in Japan and Korea yields the following insights. First, Japan recognizes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as a matter of full compensation, where the business losses should also be compensated according to prevailing academic and judicial views. In contrast, Korea requires consultation with the project operator for depreciation compensation of remaining land, which is considered unreasonable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ing landowners’ rights. Revising this provision to apply only after expropriation decisions or removing it altogether would be preferable to ensure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full compensation.
    Second, Japan allows for concurrent compensation under Article 74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and Article 75 for construction costs, and cases of combined compensation exist. In Korea, while the two types of compensation are regulated under Article 73 of the “Act on Compensation for Land, etc.,” discussions regarding overlapping compensation issues remain limited.
    Third, Japan does not regard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as a claimable right; instead, it is listed as a category of compensation under Article 88 and Article 88-2, which must be considered by the project operator. Additionally, Article 39, Paragraph 2 mandates the inclusion of compensation for depreciation of remaining land or construction costs in cases of partial land expropriation, highlighting a clear distinction from the Korea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