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네덜란드 아프리카 이주자 집단에 대한 연구 (A Short Study on the African Migrants in the Netherlan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3.02
33P 미리보기
네덜란드 아프리카 이주자 집단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아프리카연구소
    · 수록지 정보 :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33권 / 1호 / 73 ~ 105페이지
    · 저자명 : 장붕익

    초록

    네덜란드는 대표적 다문화주의국가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인구의20%가 외국인 이주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050 년에는 30% 이상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0 명 중 3 명이 이주자가 될 것이라는 정부의 전망은 기존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주자정책의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2000 년의 외국인법(De Vreemdelingenwet)과2006 년의 현지화법(De Wet Inburgering)이 결과물이다. 1960 년대부터 등장한 터키와 모로코출신 초청근로자(guest workers)집단은 대표적인 이주자집단이다. 이슬람을 신봉하는 터키, 모로코이주자들은 9.11 테러와 종교, 문화갈등, 그리고 핌 포르퇴인(Pim Fortuyn)과판 호흐(Theo van Gogh)의 암살 등으로 네덜란드주류사회의 강한 비판을 받게 되며, 이는 곧 다른 지역 출신 이주자집단에게도 확산된다. 아프리카이주자집단에 대한 네덜란드사회의 인식 역시 부정적이다. 난민(refugee)신분으로 네덜란드에 들어 온 아프리카이주자의수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는 않지만 향후 잠재적 문제 집단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그 근거로는 네덜란드사회 적응능력 부족으로 인한 높은 실업률과 범죄율, 빈곤(pauperism), 소외(marginalization), 배제(exclusion)의 악순환(vicious circle)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프리카이주자집단이 취해야 할조치는 현지화 교육의 강화, 수백개에 달하는 이주자단체의 효과적활용, 출신국가의 정치외교력 활용, 상호문화교류를 통한 문화변용(acculturation) 노력, 종교 관용주의(tolerlation) 존중, 정착사회의 가치(value)와 규범(norm) 존중 등이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이주자집단은 효과적 사회통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며, 네덜란드와 출신국가의양자관계 증진에 있어 의미 있는 가교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Netherlands is a country well known for its multiculturalism. Currently 20% of national population is consists of immigrants populations, and the portion of immigrants population in Netherlands is expected to go up to over 30% by 2050. This forecast of Dutch government that 3 out of 10 Dutch populations will be from immigrants seems to call for the criticism towards the existing multiculturalism and the enhancement in immigration policy inside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And the introduction of De Vreemdelingenwet of 2000 and De Wet Inburgering of 2006 were the direct results of these social phenomena. The group of quest workers from Turkey and Morocco emerged since the 1960s is the most typical immigrant group in the Dutch society. There were strong criticisms toward immigrants from Turkey and Morocco who are mainly Muslims since the terrorist attacks of 9.11, countless conflicts from cultural and religious differences, and the assassination of Pim Fortuyn and Theo Van Gogh. And these criticism and hostility of Dutch populations towards immigrants are permeating, and the immigrants have different origins are also became the targets of these criticism. The hostil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African immigrants inside the Dutch society is one of the cases. When one take the vicious circle of high unemployment rate and poverty (pauperism), high crime rate, marginalization and social exclusion of the African immigrant community inside the Dutch society mainly caused by relatively low adaptability of the members account, the increase in number of African immigrants itself is not threatening however, regardless of its number there is a high chance that the inflow of the African immigrants develop into the socially problematic group. To tackle this problem that both host and guest communities are facing, the most feasible measures the African immigrant community can take are making an enhancement in glocalization, improve the efficiency in utilizing hundreds of local immigrants community groups currently existing, strengthen diplomacy of African immigrants’ countries of origin, making an effort for acculturation through mutual cultural exchanges, tolerance in differences in religions and beliefs, and respecting the values and norms of host culture. The mentioned measures will not only assist the acceleration in social integration process inside the Dutch regional community, but also will contribute to the consolidation of African immigrants’ social footings as members of the Dutch society being a par with Dutch populations. Moreover, these effort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strengthening bilateral relations between Netherlands and the immigrants’ countries of orig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