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성 독거노인의 배우자 사별 경험 (Experiences of Spousal Bereavement in Aged Men Living Alo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1.05
13P 미리보기
남성 독거노인의 배우자 사별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 / 23권 / 2호 / 187 ~ 199페이지
    · 저자명 : 황영란, 홍귀령

    초록

    Purpose: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 in older men living alon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20 to February 2021 through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older men who experienced spousal bereave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7-step method.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comprised three categories with eight theme clusters. The three categories were “Facing unprepared death”, “Taking on multiple roles”, and “Surviving as a being”. Participants experienced a negative impact on their daily live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ince their spousal loss. Participants’ long-lasting health issues included troubles in family relationships, loneliness, controlling sexual desires and preparing meals, but they tended not to seek help due to cultur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were reluctant to reveal their feelings and difficulties to others, which can lead to secondary problems. Conclusion: Social and spiritual support from healthcare professionals is essential for promoting a positive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 after spousal loss.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nurses must consider the spouse’s culture when caring for dying people and develop holistic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to explore their unexpressed health problems. Further investigation regarding bereavement experiences i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and building a support system is necessary for the bereaved in the healthcare system.

    영어초록

    Purpose: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 in older men living alon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20 to February 2021 through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older men who experienced spousal bereave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7-step method.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comprised three categories with eight theme clusters. The three categories were “Facing unprepared death”, “Taking on multiple roles”, and “Surviving as a being”. Participants experienced a negative impact on their daily live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ince their spousal loss. Participants’ long-lasting health issues included troubles in family relationships, loneliness, controlling sexual desires and preparing meals, but they tended not to seek help due to cultur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were reluctant to reveal their feelings and difficulties to others, which can lead to secondary problems. Conclusion: Social and spiritual support from healthcare professionals is essential for promoting a positive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 after spousal loss.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nurses must consider the spouse’s culture when caring for dying people and develop holistic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to explore their unexpressed health problems. Further investigation regarding bereavement experiences i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and building a support system is necessary for the bereaved in the healthcar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