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인 강제연행 희생자 유골반환문제 (The bones issue of Korean civilian conscripts killed while serving with the Japanese milita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08.06
26P 미리보기
조선인 강제연행 희생자 유골반환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3권 / 47호 / 247 ~ 272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우

    초록

    조선인 강제연행 희생자의 유골반환문제는 한ㆍ일 양국간에 해결해야 할 오랜 현안으로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인도주의, 현실주의, 미래지향주의의 3원칙에 의해서 성실하게 이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유족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나가사키 원폭사망자 유골명부를 공개한 것처럼 한ㆍ일 양국이 소유하고 있는 유족명부를 공개하여야 한다. 둘째, 일본정부는 유골문제에 대해서 인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일본국내 조선인강제연행희생자 유골이 일본 각지에 방치되거나 합장, 화장되는 등 비인도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것은 한민족의 민족성, 인간성을 외면하는 중대한 인권침해행위이다. 일본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비인도적인 처사를 종식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족의 아픔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 정부는 관련 자료를 적극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이미 한ㆍ일협정 당시에 1945년 3월까지 사망자 총 4만 6천명 이상의 통계자료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통계자료를 확인하기 위한 이해관계인들의 상세한 정보공개청구에 대하여 일본 외무성과 경시청은 ‘자료부존재’로 답변하거나, 사망자명부를 보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후생노동성은 ‘작성, 취득하지 않았거나 보존기간의 만료’로 회답하고 있다.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일본정부에 의한 본격적인 자료조사가 절실히 요청된다. 넷째, 일본정부는 강제연행희생자의 유골이 방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일본사회와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유골발굴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동으로 조사해야 하며 이를 담당할 기구를 설치해야 한다. 전후 60여 년 동안 방치해 온 조선인 강제연행 희생자의 유골반환문제는 부끄러운 역사의 산물로 관련 당사국인 한ㆍ일 양국의 끊임없는 관심과 적극적인 노력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

    영어초록

    After the National General Mobilization Law took effect in 1939, increasing numbers of Koreans began migrating to Japan in groups under forcible conditions. The three stages of the Korean labor program were 1) “recruitment” beginning in July 1939 2) “official mediation” beginning in February 1942 and 3) “conscription” or “requisition” beginning in September 1944, with enactment of the National Conscription Law. The stages reflected the increasing gravity of labor shortage as the war turned against Japan. The Korea Labor Association, an all-purpose labor provision agency staffed by Koreans but ultimately controlled by Japanese, was launched in July 1937. That same month Japan committed itself to general war against China which, along with war against the Allied nations in 1941, ensured that manpower shortages would grow ever more severe.
    Japan drafted tens of thousands of Koreans during the colonial era while others were forced to work at military-run factories. During memorial service at the Yutenji temple, one of Tokyo's best-known Buddhist temples, has preserved the ashes of 1,135 Korean people since the war. Senior Vice Foreign Minister Hitoshi Kimura repeated Japan's "deep remorse and apology" for its colonial rule over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10 and 1945.
    Building on a pledge of official cooperation extracted from Japanese Prime Minister Koizumi Junichiro by Korean President Roh Moo-hyun at their December 2004 summit meeting, the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has been conducting fact-finding investigations at dozens of former worksites across Japan since April 2005.
    Korean and Japanese officials carried out the first joint government inspection of a charnel house containing cremated Korean remains, in the region of Fukuoka Prefecture. Japan and Korea held their meeting about repatriating the remains of Korean civilian and military conscripts still stored in Japan. Data about these remains was provided by municipalities in 1,507 cases, by corporations in 147 cases and by temples in 15 cases.
    More than 1,000 sets of such remains were returned from Japan by civilians. The remains of 288 people have been identified. The governments of the two nations will continue efforts to find the families of the unidentified ones. The two countries began an effort in 2004 to repatriate the remains amid lingering tension over the past. Relations turned sour especially during the 2001-2006 premiership of Junichiro Koizumi. His successor Shinzo Abe and Prime Minister Yasuo Fukuda have both shunned the Yasukuni shrine in a bid to repair ties wi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