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熱河日記』에 비친 홍대용의 그림자 (Shadow of Hong Dae-yong Reflected on 『Yeolha-ilg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9.06
41P 미리보기
『熱河日記』에 비친 홍대용의 그림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59권 / 59호 / 51 ~ 91페이지
    · 저자명 : 최식

    초록

    본고는 조선 사신의 행색과 관련한 에피소드, <小序>를 둘러싼 논쟁, 그리고 漢族의 自省과 관련한 三厄 등을 중심으로 홍대용의 연행과 『간정동회우록』이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어떠한 방식으로 수집・정리되고 확대・재생산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박지원은 홍대용이 연행에서 乞僧으로 조롱당한 사실을 착안하여, 조선 선비의 행색이 중국의 중과 흡사하다는 정보를 소개한다. 또한 明制를 고수하던 오영방이 비웃음을 당하고 홍대용이 걸승으로 오해받은 사건과 마찬가지로 자신도 托鉢僧・頭陀僧과 다름없어 걸승으로 조롱당한 일화를 전하며, 당시 조선 여인의 복색에 비판적 견해를 덧붙인다. 더욱이 頭註를 기록한 인물도 홍대용의 일화에 착안하여, 박지원과는 달리 도사로 오해받은 연행의 경험담을 기록한다.
    『간정동필담』에 따르면, <小序>를 둘러싼 한중 지식인의 논쟁에서 홍대용은 패배를 시인한 셈이다. 그런데, 박지원은 홍대용의 <소서> 논쟁을 주제로 새로운 논의를 전개한다. 중국에서 주자를 배척하는 상황은 홍대용이 중국 지식인과 논쟁한 <소서>를 재구성한 것인데, 마치 일반적인 상황처럼 제시한다. 이후 初彭齡・高棫生을 상대로 <소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대목은 홍대용의 사례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고, 『간정동필담』에서 등장하는 馬端臨・毛奇齡・朱彝尊을 주자를 공박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한다. 이는 박지원이 『간정동회우록』의 <소서> 문제와 논쟁을 당시 중국 학계의 일반적인 상황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셈이다.
    『열하일기』의 三厄은 홍대용과 이덕무가 언급한 망건과 전족에서 비롯되어, 연초를 덧붙여 삼액으로 명명하고, 연행록과 필기 및 유서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치밀하게 구성한다. 특히 홍대용과 이덕무의 말을 한족 출신의 지식인 왕민호가 언급하는 것으로 처리하여 한족의 自省과 연결 짓는다. 또한 삼액은 이후 연행록에 수용・변증・활용 등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드러난다. 朴思浩는 왕민호가 언급한 삼액을 전재한 반면, 韓弼敎는 박지원과 왕민호의 필담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이와는 달리, 이정수는 삼액을 수용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각종 문헌을 활용하여 변증을 시도한다. 이 밖에 『中州偶錄』과 『瀋槎日記』는 『열하일기』와 마찬가지로 한중 지식인의 만남에서 필담의 소재로 삼액을 활용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how the traveling of Hong Dae-yong and 『Ganjeongdonghoewu-rok』 collected, summarized, expanded and reproduced on 『Yeolha-ilgi (Journal of Yeolha)』 of Park Ji-won around episode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Joseon's envoy, debate around 「Soseo」, and Samaek related to the reflection of the Han people.
    Park Ji-won reminded the fact that Hong Dae-yong was mocked in the travel as a beggar monk, and introduced the appearance of Joseon's scholar looks similar to a Chinese monk. In addition, O Young-bang who adhered Myeongje (明制) was ridiculed mocked and was laughed at as treated like a beggar monk like takbal-seung (begging bonze) and duta-seung (monk in penance), just the same as in the incident of Hong Dae-yong treated as a beggar monk and she stated her criticizing opinion regarding the clothes of the Joseon's women at the time. Furthermore, those characters who recorded the connotations considered the story of Hong Dae-yong to record the experience of journey that was misunderstand as the priest, which is different from Park Ji-won.
    According to 『Ganjeongdong-Pildam』, Hong Dae-yong acknowledged his defeat in the debate of intellectuals in Korea and China surrounding 「Soseo」. However, Park Ji-won deployed the new discussion with the theme of 「Soseo」 debate of Hong Dae-yong. The situation of China where Zhu Xi was turned away was presented as if it was a generally accepted situation when it was actually recomposing of 「Soseo」 that had Hong Dae-yong debated with Chinese intellectuals. Thereafter, the part of demonstrating his opinion on 「Soseo」 to Cho Paeng-ryeong and Ko Yeok- saeng caused the completely opposite result with the case of Hong Dae-yong and Ma Dan-lim, Mo Gi-ryeong, and Joo E-zon appearing on 『Ganjeongdong-Pildam』 was pointed as the typical man who publicly denouncing Zhu Xi. This is to have Park Ji-won to acknowledge the issues and debate of 「Soseo」 by 『Ganjeongdong-ZHoewurok』 as the general situation in the Chinese academic circle to express his own opinion.
    The Samaek of 『Yeolha-ilgi』 is composed in detailed and sophisticated means on the basis of writings and wills with the Yeonhaeng-rok (a journal of envoy's trips) as it was originated from manggeon (hair-band) and jeonjok (foot-binding) mentioned by Hong Dae-yong and Lee Deok-moo to name it as Samaek with the additional of yeoncho. In particular, the words of Hong Dae-yong and Lee Deok-moo were processed as the Han people raced intellectual, Wang Min-ho, mentioning it in a way of connecting to the reflection of the Han people. In addition, the Samaek appeared with various changes in shape and type on the Yeonhaeng-rok with accommo- dation, demonstration, facilitation and others. Park Sa-ho posted the Samaek that Wang Min-ho mentioned while Han Pil-gyo had the recomposition of the written communication of Park Ji-won and Wang Min-ho. Unlike the foregoing, Lee Jeong-soo accommodated the Samaek while displaying his own opinion and attempted for demonstration by utilizing various literatures. In addition, 『Jungjuwoo-rok』 and 『Simsailgi』 facilitate Samaek as the theme of written communication in meetings of Korea-China intellectual as in 『Yeolha-il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