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Victims of Digital Sex Crime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1.06
15P 미리보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제20회 안전문화포럼 학술대회 / 81 ~ 95페이지
    · 저자명 : 김미선, 신현주

    초록

    그간 정부는 디지털 성범죄 근절을 위해 관련 법을 제정하고 정책을 개선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성범죄 처벌이 강화되고 피해자 보호와 지원 방안이 확대되었다. 하지만 범죄수법이 진화되어 새로운 양상의 디지털 성범죄가 확산되고 있으며 2차 피해도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변화된 정부의 ‘디지털 성범죄 근절 대책 방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제도적인 보완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특수성으로 피해자가 느끼는 불안과 두려움은 반영구적이므로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 보호 대책은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문헌 및 공식적인 통계자료 등을 인용하여 피해자 관점에서 디지털 성범죄 관련 법률 개정 내용과 현황 및 인식 자료를 점검하고 좀 더 강화된 피해자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성범죄의 피해자는 삭제지원을 원하고 유포 확산을 두려워한다. 따라서 디지털 성범죄물 유포 확산 방지를 위해 유포자 처벌과 온라인 사업자 규제 모두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재판과정에서의 양형 기준은 피해자 관점에서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해 ‘피해자에게도 책임이 있다’라는 인식과 ‘디지털 성범죄물을 단순 소지하는 정도는 괜찮다’라는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는 피해 사실이 드러나지 않는 한 피해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은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디지털 성범죄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지침 마련, 피해자다움을 요구하는 왜곡된 인식개선 교육, 청소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셋째, 피해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하여야 하며, 삭제지원 외에도 피해자가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피해자 치유 및 회복적 지원과 상담지원이 강화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기관의 전문성과 고용안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government has improved related legislation and policies to eradicate digital sex crimes. As a result, punishment for digital sex crimes has been strengthened and measures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have been expanded. However, as criminal methods have evolved, a new type of digital sex crime is spreading. The secondary damage to the victim is also serio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government’s ‘measures to eradicate digital sex crimes’ that have been changed so far, and to look at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particular, due to the specific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anxiety and fear felt by the victim have semi-perman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measures to protect victims of digital sex crimes need to be strengthened. To this end,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literature and official statistical data. Also,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revision of laws related to digital sex crimes,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data were reviewed, and a stronger victim support plan was sou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ctims most need support for deletion of videos. There is also a high fear of spreading the spread. Therefore,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punishment for those who distribute and redistribute was proposed. In addition, a deletion order is required to prevent distribution.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 sentencing standards in the trial process should be prepa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victim. Second, it was found that digital sex crimes had a high level of perception that ‘the victim is responsible’ and ‘simple possession of video material is allowed’. As a result, it was argued that the damage of digital sex crimes is highly likely to be underestim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guidelines for preventing secondary damage from digital sex crimes. In addition, it emphasized education on improving distorted perceptions that demand victimism, and education on media literacy to promote the correct use of media. Third, public-private cooperation should be emphasized so that victims can receive the services they need. He also emphasized that in order to support the victims, not only the deletion support, but also the victim's healing and recovery support and counseling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the victims can return to their daily lives. To this end, it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ism and job security of digital sex crime victims support organiz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