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 개정 방향 (Direction for revision of copyright act to protect the rights of authors of audiovisual works and audiovisual performers)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3.09
62P 미리보기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 개정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35권 / 3호 / 195 ~ 256페이지
    · 저자명 : 이해완

    초록

    영상저작물 저작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이 다수 국회에서 발의되어 심의 중에 있는 상황 속에서, 이 논문은 우리나라 저작권법상의 영상저작물 특례규정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하고 타당한 방안이 무엇일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판단이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일반 저작자와 실연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보상청구권 제도에 의하여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도 보호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지만, 그보다는 영상저작물에 특화된 보상청구권 규정을 도입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하지만, 일반 저작자를 위한 추가보상청구권 제도의 도입도 창작자와 실연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입법과제이고 영상저작물 제작에 참여하는 각본가의 권리와도 관련되어 있으므로, 그 도입을 영상저작물에 특화된 보상청구권 제도의 도입과 동시에 병행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보상청구권 제도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권리자에 대한 쟁점, 의무자에 대한 쟁점, 그리고 권리의 내용 및 행사 방법에 대한 쟁점 등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와 함께 시청각실연자도 보상청구권 제도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형평성 등의 측면에서 타당하다.
    둘째, 저작자의 결정과 관련하여 사례방법을 취하고 있는 우리 법제 하에서 보상청구권을 가지는 저작자들을 한정적으로 열거하여 규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저작자의 결정은 기존의 해석론에 맡겨야 한다.
    셋째, 보상청구권의 상대방, 즉 보상의무자는 최종이용자가 아니라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권리를 양수받아 이용허락 등의 방법으로 행사하는 영상제작자등으로 규정하는 것이 현실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저작자 등과의 계약 상대방만이 아니라 재양수인 등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며, 보상청구권의 잔여권(residual right)으로서의 성격에 비추어 그러한 대항력 인정에 법리적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넷째, 저작자 및 실연자가 연출료, 출연료 등으로 받는 대가와 관련하여 영상저작물의 이른바 ‘최초이용’에 대하여는 이미 대가를 지급받은 것으로 보아 보상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안이다. 최초이용의 범위는 보상금 요율 등의 결정과 함께 일차적으로 지정단체와 영상제작자등 사이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하도록 하고, 그것이 안 될 경우 2차적으로 조정에 의한 결정을 시도해 보고 그것도 잘 성립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으로 법원에 제소하여 판단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의 기준 등을 모두 시행령에 위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다섯째, 보상청구권의 행사는 권리자 단체 중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하는 단체에 의하여 하도록 하는 의무적 집중관리 제도를 취하여 창구단일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영상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권리자들의 권리보호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좋은 방안이다.

    영어초록

    In a situation where many bills for the revision of Copyright Act have been proposed and are being considered in the National Assembly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special provisions for audiovisual works and protect audiovisual work authors and audiovisual performers, this paper examines what i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rights of audiovisual authors and audiovisual performer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 plan is being discussed to ensure that authors of audiovisual works and audiovisual performers are also protected through additional remuneration system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general authors and performers, but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roduce remuneration regulations specific to audiovisual works. How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an additional remuneration system for general authors is an important legislative task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reators and performers and is also related to the rights of screenwriters wh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audiovisual works, its introduction must proceed 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emuneration system specialized for audiovisual works.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remuneration syste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reviewing issues regarding rights holders, issues regarding obligors, and issues regarding the content and exercise method of rights.
    First, it is reasonable in terms of equity to provide that audiovisual performers, along with authors of video works, can receive protection under the new remuneration system.
    Second, under our legal system that adopts a case-by-case method with respect to the author's decision, it is not appropriate to provide a limited list of authors who have the right to claim remuneration, and the author's decision must be left to the existing interpretation theory and practice.
    Third,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it is desirable to define the other party of the right to remuneration, that is, the person liable for remuneration, not as the end user, but as a audiovisual work producer, etc., who inherited the rights of the author or performer and exercises them through methods such as licensing for use. In that case, it is appropriate to recognize the effect not only against the other party to the contract with the author, etc., but also against third parties, such as the person to whom the rights have been transferred, and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remuneration as a residual right, there is no legal problem with recognizing such effect.
    Fourth, in relation to the remuneration received by authors and performers in directing fees, actors' fees, etc., it is reasonable to exclude remuneration for the so-called ‘first use’ of audiovisual works as remuneration has already been paid. The scope of initial use should be determined primarily through negotiation between the designated organization and the audiovisual works producer, etc. along with the decision on the remuneration rate, etc., and if that is not effective, a solution through mediation should be attempted secondarily, and if that does not work out well, the final decision will be made by the court. It is not appropriate to delegate all remuneration standards, etc. to the enforcement ordinance.
    Fifth,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muneration must be carried out by an organization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mong rights holder organizations, and a 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 system is in place to enjoy the effect of unifying the window. This is a good way to ensure the balance betwee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video industry and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uthors and perfor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균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