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행기 정의와 피해자의 경험: 조작간첩 피해자들의 재심 재판 사례를 중심으로 (Living with Transitional Justice: Analyzing Victims’ Experiences in State-fabricated Espionage Cases in Retrial Processe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5.02
20P 미리보기
이행기 정의와 피해자의 경험: 조작간첩 피해자들의 재심 재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7권 / 1호 / 443 ~ 462페이지
    · 저자명 : 주현우

    초록

    【국문초록】

    이행기 정의와 피해자의 경험: 조작간첩 피해자들의재심 재판 사례를 중심으로

    주 현 우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작간첩 피해자들의 재심 재판 경험을 통해, 이행기 정의라는 개념이 피해자의 삶 속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체험되고 실행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특히 ‘개념과 함께 살아가기’라는 관점에서, 이행기 정의의 주요 개념인 ‘가해(자)’, ‘피해(자)’, ‘해결’이 피해자의 경험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변형되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문헌 자료 분석 및 구술 면접 자료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이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구술 기술 분석을 통해 법과 제도를 통한 간첩조작사건 해결 과정에서 개념과 경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차이로 인하여 가해의 책임이 불분명해지고, 피해의 시간성은 제한되며, 해결의 의미가 축소되는 것을 보았다. 또한 조작간첩 피해자들이 법적·사회적 정의 및 해결의 한계를 어떻게 체험하고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구술 분석을 통해 서술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는 향후 이행기 정의라는 개념이 피해자 삶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개념 중심적 해결을 넘어서 피해자의 경험에 기반한 정의 실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즉 과거청산 과정에 있어 피해자 중심의 정의 실현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핵심어: 이행기 정의, 조작간첩 피해자, 재심 재판, 피해자 경험, 개념과 함께 살아가기

    영어초록

    Living with Transitional Justice: Analyzing Victims’ Experiences in State-fabricated Espionage Cases in Retrial Processes*













    Hyunwoo Ju**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ncept of transitional justice is concretely experienced and implemented in the lives of victims of fabricated espionage cases.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Living with Concepts’, the study explores how the core components of transitional justice — ‘perpetrator (s)’, ‘victim (s)’, and ‘resolution’ — are constructed and transformed within victims’ lived experiences. The analysis identifies significant gaps between concepts and experiences, including the ambiguity of perpetrator accountability, temporal limitations placed on victimhood, and the reduction of resolution to procedural term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ng transitional justice within the context of victims’ liv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justice rooted in lived realities. Using victims’ oral testimonies, this study examines how they navigated and responded to the limitations of legal and social justice frameworks. By adopting the perspective of ‘Living with Concepts’, it aims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approaches to dealing with the past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ictim-centered pathways to achieving justice.




    Key Words: Transitional Justice, State-fabricated Espionage Case Victims, Retrial Process, Victim’s Experience, Living with Concepts













































    □ 접수일: 2025년 1월 20일, 수정일: 2025년 2월 10일, 게재확정일: 2025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도 제주4·3평화재단 4·3학술연구 지원사업의 기금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음.
    **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Jeju National Univ., Email: hide2314@gmail.c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