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박안전법상 화물차량 운전자와 임시승선자에 대한 해석론적 쟁점 (A Study on the Issues of Interpretation to the Vehicle Cargo Driver and Temporary Passengers in the Ships Safety Ac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8.11
28P 미리보기
선박안전법상 화물차량 운전자와 임시승선자에 대한 해석론적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해사법연구 / 30권 / 3호 / 113 ~ 140페이지
    · 저자명 : 최석윤, 홍성화, 하창우

    초록

    이 논문은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제5조 제9호와 관련된 임시승선자의 연혁과 현황을 살펴보고,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 논문의 주요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제5조 제9호에 대한 유권해석으로 인해 종래 화물차량과 함께 임시승선자로 승선하였던 운전자가 12명까지만 여객으로 승선하고 나머지 화물차량 운전자는 항공기 등 다른 교통수단으로 이동해야 함으로써 원활한 화물운송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비용과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그런데 로로화물선의 경우 선원과 동승하여 생활하는 선원의 가족이나 선박소유자 등은 임시승선자로 인정하더라도 승선인원의 안전과 선박의 안전운항에 문제가 없다고 하면서도, 화물관리인은 임시승선자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형평성에도 어긋날 뿐만 아니라 논리적 모순이 있다.
    둘째, SOLAS 협약이나 유럽연합 규정 등에서 여객이나 선원과 구분되는 ‘기타의 자’가 일본의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세칙에서 ‘기타 승선자’로 변형되면서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제5조에서 ‘임시승선자’로 변형되면서 그 범위가 한층 더 확대되었다.
    셋째, 해양수산부장관의 유권해석과 부산지방법원의 판결은 문리해석, 논리적․체계적 해석, 주관적․역사적 해석, 객관적․목적론적 해석 등과 같은 전통적 해석방법론뿐만 아니라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해석방법론에도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근거가 부족하고 설득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해석방법론이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해석방법론에 따르면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제5조 제9호는 여객선뿐만 아니라 화물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넷째, 해석론을 통한 개선방안으로도 업계의 요구나 현실적인 필요에 대부분 대응할 수 있지만, 불필요한 논쟁과 송사를 피하기 위해서는 법률개정을 통한 입법론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운송되는 화물의 특수성이나 선박운항의 특수성 및 물류시스템의 현황을 반영하고, 자의적인 해석이 아니라 일반인의 상식적 판단에 따른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제5조 제9호는 “화물의 특성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농산물·수산물 운송차량, 가축운송차량 및 폭발성·인화성 물질 운송차량의 화물관리인(운전자는 화물관리인을 겸할 수 있다)”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suggests improvement plans referring to the history and present of ‘temporary passengers’ related with Paragraph 9 of Article 5 of the Ships Safety Act Enforcement Ordinance and examples of legislation of other countries. The following i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paper.
    First, because of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Paragraph 9 of Article 5 of the Ships Safety Act Enforcement Ordinance, the drivers who formerly boarded as temporary passengers with vehicle cargo now board as passengers up to 12 persons and the rest of the vehicle cargo drivers need to move by other transportation such as aircrafts, which leads to excessive use of cost, inconvenience and trouble with efficient cargo transportation. In case of Ro-Ro cargo ships, it is logically contradictory and against fairness to not acknowledge supercargo as temporary passenger when there is no problem with safe navigation of ships or safety of people on board even when the seafarer, the seafarer’s family and the shipowner may be acknowledged as temporary passengers.
    Second, the ‘other person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the passengers and the seafarers in the SOLAS Convention and the EU directives expanded its’ meaning in the modification of the Japan detailed rules of the Ships Safety Act Enforcement Ordinance, which enlarged its’ meaning in our country once more with its being modified to 'temporary passengers' in the Article 5 of the Ships Safety Act Enforcement Ordinance.
    Third,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judgement of Busan district court does not relate with not only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al methodology such as grammatical interpretation, logical-systematic interpretation, subjective- historical interpretation, objective-teleological interpretation but also the interpretational methodology that are commonly used today it lacks logical basis and looks unpersuasive. According to traditional and recent interpretational methodology, Paragraph 9 of Article 5 of the Ships Safety Act Enforcement Ordinance can be applied not only on passenger ships but also on cargo ships.
    Fourth,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ory of interpretation can be a way to deal with the demands of the business world and realistic needs, however, to avoid unnecessary disputes and lawsuits, improvement plans using theory of legislation through statutory reform is more desirable. Therefore, Paragraph 9 of Article 5 of the Ships Safety Act Enforcement Ordinance should be amended to “Supercargo who deal with cargo that requires special ca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go, such as transportation vehicles for agricultural products, marine products, livestock, explosives and flammable materials can serve both as a driver and a supercargo” to reflec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argo and ship navigation in Korea including the current distribution system, while setting an objective standard based on commonsense of ordinary people and not on arbitrary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