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實錄字 고찰 (A Study of Sillokja(實錄字) Types in the Collec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實錄字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0호 / 51 ~ 82페이지
    · 저자명 : 이재정

    초록

    국립중앙박물관(이하 중박)에는 조선 시대 왕실과 국가에서 사용했던 수십 만 자의 활자가 소장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금속활자로 實錄字大字와 小字가 6만 여자 포함되어 있다.
    朝鮮總督府에서 남긴 자료와 현재 남아 있는 판본 등을 통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實錄字가 『顯宗實錄』부터 『哲宗實錄』까지의 實錄 및 『列聖御製』, 각종 誌狀類, 그 외 조선 후기에 간행된 여러 책의 인쇄에 두루 사용되었음이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활자가 『顯宗實錄』 간행에 처음 사용되었으므로 ‘顯宗實錄字’로 명명되어 왔다.
    『顯宗實錄』은 민간의 洛東契에서 주조한 활자와 실록 간행을 위해 새로 주조한 활자를 혼용하여 인쇄하였고, 이후 이 활자는 혼합되어 19세기 말까지 200년 이상 계속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몇 차례 추가 제작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명확한 기록이 없어 그 시기에 대해서는 몇 가지 추정이 있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중박 소장 활자 실물과 實錄字로 간행한 印本들을 비교하여 추가 제작 시기를 좀 더 명확히 정리하고, 시기에 따른 활자 형태의 차이 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實錄字는 외형상으로 크게 신형 활자와 구형 활자로 구분되며, 實錄字로 인쇄한 책과 비교를 통해 신형 활자는 1814년 무렵에 만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형 활자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1674년(洛東契字 시기), 1677년(顯宗實錄 편찬 시기), 1728년(肅宗實錄 편찬 시기) 세 시기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활자의 제작 시기가 내려갈수록 형태가 보다 규격화되고 재료인 구리의 소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17~19세기에 걸쳐 활자의 제작과 서적 간행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효율성을 추구한 결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keeps hundreds of thousands of printing types, which were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more than 60,000 metal types known as Sillokja Types(實錄字: both large types and small types). These types are composed of those collected by a private organization named Nakdonggye(洛東契) at the time of the publication of Hyeonjong sillok(顯宗實錄: Veritable Records of King Hyeonjong) in 1677 and those replenished for Hyeonjong sillok. Further these types were produced and supplied up until the 19th century for the printing of numerous books, including annals.
    Sillokja Types are divided into old and new printing types. Close examination of the books printed with Sillokja Types revealed that the new printing types were made around 1814.
    The shapes of the old printing types are diverse, and the timing of their production can be chief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1674 (types made by Nakdonggye) 1677 (types made for the compilation of Hyeonjong sillok), and 1728 (types made for the compilation of Sukjong sillok(肅宗實錄)).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shapes of the printing types became more standardized and smaller quantities of copper were used in their production, apparently as a result of efforts for greater efficiency in the production of types and the publication of books in the 17th ~19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