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적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 ‘포스트잇 글쓰기 ’의 교육적 활용 및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ethodology of teaching ‘self ―introspective writing’ with critical writing ―Mostly referring to education utilization and effects of 'Post―it writ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03
26P 미리보기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적 글쓰기 수업 운영 방안 - ‘포스트잇 글쓰기 ’의 교육적 활용 및 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63호 / 201 ~ 226페이지
    · 저자명 : 차성연

    초록

    본고는 자기성찰적 글쓰기 교육이 자기표현 , 치유 , 자기서사 글쓰기의 한계에 서 벗어나 ‘나―타자―세계’를 연결하는 사유로서의 성찰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고 , 이를 위해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적 글쓰기 수업 모형’을 제시해보았다 . ‘포스트 잇 글쓰기’라 이름 지은 수업의 구체적 운영 방안 및 교육적 효과를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단계 , 공통의 텍스트를 함께 읽고 비평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나 /타자’ 에 대한 해석적 개입으로서의 비평 , ‘나―타자―세계’를 연결하는 사유로서의 성찰의 의미에 대해 고민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
    두 번째 단계 , 수업 구성원과 ‘말하기 /듣기’ 활동을 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쓸비평문의 비평 대상을 탐색한다 . ‘내가 사랑하는 /싫어하는 것들’의 목록을 말하고 들음으로써 서로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이지만 ‘나’의 경험이 자기서사의 완결성으로 수렴되는 결과를 피하기 위해 간단하게 포스트잇에 기록하고 말하는 방식으로진행한다 .
    세 번째 단계 , 앞의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평문을 쓴다 . ‘내가 사랑하는 /싫 어하는 것’에 대한 자기서사가 아니라 비평문을 씀으로써 , 비평의 대상과 ‘나’를 연결하는 ‘보편적 속성’에 대한 성찰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
    네 번째 단계 , 비평문 발표와 합평을 진행한다 . 발표와 합평이 자기고백의 시간 이 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평문에 나타난 ‘보편적 속성(universal attribute)’ 위주로 평가하고 , 발표에서 음악이나 영상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함으로써흥미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 또한 발표를 듣고 관련 경험이 떠오른 학우는 포스트잇에 그 내용을 적어 발표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서로의 경험을 나눌 수 있다 .
    다섯 번째 단계 , 학우들이 전해준 포스트잇에 적힌 경험들 중 하나 , 혹은 몇 가 지를 소재로 사회(문화)비평문을 쓴다 . ‘타자로서의 나’의 경험도 쓸 수 있다 . ‘나’ 와 타자의 경험이 원인 혹은 결과가 되는 사회문화적 현상들을 분석함으로써 ‘나― 타자―세계’의 연결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
    이러한 수업 모형은 필자의 시험적 수업 운영을 거쳐 시론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아직 그 교육적 효과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지는 못했지만 , 자기성찰적 글쓰기의교육적 가치 실현이 절실한 시점에서 구체적 수업 운영 방안이 포함된 방법론의 모색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 이에 ‘포스트잇 글쓰기’를 아이디어로 하여 ‘비평을 활용한 자기성찰 글쓰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활용함으로써 실증적인효과 확인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

    영어초록

    This article deems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must perform introspection as thoughts linking selfhood and the other escaping from the limit of self―expression, healing, self―narrative writing and proposed a class model for that. The concrete operation device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lass named ‘Post―it writing’ can be summarized by step as follows. First, by reading together common texts and experiencing critical activities, take the time of agonizing over and sharing criticism as interpretative intervention with 'self/others' and a meaning of introspection as thoughts of linking 'self/others'. Second, by doing activities for 'Speaking/listening' together with classmates, search the subject of criticism of a critique to be written in the next step. Though it is the time of understanding each other by speaking and listening to the list of the things that "I love', it must proceed in a way that it is simply recorded in post―it in order to avoid the result that my experience reaches the completion of self―narrative. Third, write a critique by selecting one of the above―mentioned list. By writing a critique not self―narrative of what 'I love/dislike', ensure that introspection of universal attributes of linking the subject of a critique to 'I' can be materialized. Fourth, proceed with publication and joint review of a critiqu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that publication and joint review may be the time for self―confession, ensure that they can proceed interestingly by making evaluation indicated in a critique and utilizing various audio― visual materials such as music and video in presentation. Also, if a classmate recalls related experiences after hearing contents of presentation, it is possible to share experiences of each other by writing them in post―it and communicating them to the presenter. Fifth, Write social(cultural) critique with one of several of experiences written in post―it as materials. It is possible to write the experience of 'I as other'. By analyzing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that experiences of 'I' and others can be causes or results, it is possible to introspect relation among 'I―others―world'. Such a class model, which was proposed as a trial through experimental class operation of the author, was not confirmed in its empirical educational effect, but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search methodology including concrete class operation methods at the present time when education value realization of self―introspective writing is urgently needed.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confirm empirical effects by proposing and utilizing a device for self―introspective writing class with 'post―it writing' as id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