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人物性同異論爭의 論據 分析 - 李柬·韓元震·任聖周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about the core points and grounds of the debate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6
31P 미리보기
人物性同異論爭의 論據 分析 - 李柬·韓元震·任聖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8권 / 135 ~ 165페이지
    · 저자명 : 손흥철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인물성동이논쟁의 핵심적 논점과 그 근거를 고찰하여 그 이론적 정합성을 검토하고, 21세기에도 인간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철학적 성찰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확인해 보려는 데 있다.
    먼저 이 논쟁의 이론적 근거는 『중용장구』의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과 『맹자집주』의 ‘생지위성(生之謂性)’에 대한 주자의 해석이며, 논리적 근거가 주자의 리일분수(理一分殊)와 율곡(栗谷, 1536~1584)의 리통기국(理通氣局)임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이 논쟁이 율곡의 ‘리통기국(理通氣局)’을 외암(巍巖, 1677~1727)은 리통(理通)을 중심으로 성(性)을 이해하고, 남당(南塘, 1682~1751)은 기국(氣局)을 중심으로 성을 이해함으로써 발생하였음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외암은 리일(理一)·리동(理同)·리통(理通)·일원(一原)을 중심으로 성을 이해하고 인성과 물성이 본연의 공통적인 본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였고, 남당은 분수(分殊)·기이(氣異)·기국(氣局)을 중심으로 성을 이해하여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녹문은 외암과 남당이 주자와 율곡의 이론을 잘못 이해하고 성의 개념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가 비판한 요점은 리기동실(理氣同實)·리통기통(理通氣通), ‘일원이 곧 오상’ ‘기질지성이 곧 본연지성’ 인물성상이(人物性相異)·미발심체본선(未發心體本善) 등으로 요약된다.
    필자는 녹문의 이론에 논리적 정합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인물성동이론이 철학의 영역을 넘어 사회·정치·경제 방면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oretical compatibility by examining core points and grounds of the debate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and check out to see if it involves philosophical instropection that can resolve problems in hum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controversy are interpretation on “What Heaven Commands Is Called Nature” in 『The Doctrine of the Means Chapters Variorum』 by Zhu Xi(朱熹, 1130~1200) and ‘Sheng zhi wei xing(生之謂性)’ in 『Mencius Variorum(孟子集註)』 by Zhu Xi. The study explained that the logical basis was ‘Li(理) is one but its manifestations are many(理一分殊)’ by Zhu Xi and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by Yulgok(栗谷, 1536~1584) With regard to Yulgok’s‘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 the controversy occurred because Oeam(巍巖, 1677~1727) understood‘the Human nature(性)’centering around‘all penetrating Li(理通)’, and Namdang(南塘, 1682~1751) comprehended‘defining Qi(氣局)’centering around the human nature. Oeam understood the human nature centering around Li is one(理一), all penetrating Li, ‘Li providing common ground(理同)’and‘the one origin(一原)’and insisted that personality and material properties shared common human nature. Namdang understood the human nature centering on‘Li’s manifestations are many(分殊)’, ‘Qi differentiates(氣異)’and‘defining Qi(氣局)’ and insisted that personality was different from material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Nokmun(鹿門, 1711~1788) criticized Oeam and Namdang for misunderstanding theories pursued by Zhu Xi and Yulgok and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the human nature. His criticism can be summarized as ‘Li and Qi working equally in real(理氣同實)’,‘all penetrating Li and Qi(理通氣通)’,‘the one origin(一原) is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the Original Nature(本然之性) is Physical nature(氣質之性)’,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and ‘the unaroused state of the mind as pure goodness(未發心體本善)’.
    The researcher found Nokmun logically compati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ory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can be expanded into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going beyond the area of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