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滄溪 林泳의 疏箚 一考 (A study on Changgye Lim-young’s soch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3.12
37P 미리보기
滄溪 林泳의 疏箚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24호 / 103 ~ 139페이지
    · 저자명 : 송혁기

    초록

    林泳(1649~1696)은 평생 학문 연마에 전념하고자 하는 뜻을 지닌 성리학자였지만, 科擧로 立身한 이상 出仕와 辭職 사이를 오갈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임영은 疏箚를 통해 辭職과 論事의 의견을 개진했다. 임영은 한때 숙종의 인정을 받으며 조정에 출사하여 經世의 이상을 시행하고자 했지만, 그 기대는 얼마 가지 못했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기는커녕 숙종의 감정적인 대응만이 돌아오는 상황을 몇 차례 겪은 임영은, 숙종의 求言에 따른 萬言疏에 경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총체적으로 담아 올렸다. 이에 대한 숙종의 반응마저 부정적이자 임영은 조정에 다시 나가지 않았고, 이후의 소차에서는 논사 없이 사직을 청하는 내용으로 일관했다.
    본고는 소차의 작성 배경과 주제 구현 방식 및 소통 양상을 통해서 임영이 지녔던 경세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그 내용은 聖學의 엄정한 기준으로 궁중 예산과 환관, 척신, 공신의 문제, 조세와 병역, 인사 제도와 국방 체제 등의 현안에 대해 내린 세부적인 진단과 대안들이다. 임영은 치밀한 단락 구성과 명확한 강령 부각, 그리고 억양법의 적절한 구사를 통해서, 爲民과 聖學의 정신을 당대의 구체적인 현안과 긴밀하게 연결하여 정연한 논리로 구축했다.
    임영은 疏箚의 내용 선정에 신중했을 뿐 아니라 서술과 표현의 전략에도 관심이 높았다. 임영의 문학적 재능이 가장 지속적으로 순도 높게 발휘된 문체가 소차였다. 임영은 숙종의 감정적 반응을 몇 차례 겪은 뒤에도 오히려 강도 높은 내용의 소차를 작성했다. 과감하게 올린 소차의 주된 내용은 ‘爲民을 근간으로 하는 聖學의 經世 意識’이었다. 임영이 만언소에서 숙종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궁중의 경비 절감과 환관 배제 문제를 반복해서 강조한 것은, 민심을 얻기 위해 節用해야 하며 그 출발은 군주의 公心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聖學의 근본이 서지 않는다면 다른 모든 논의가 무의미하다는 생각을 뚜렷하게 드러낸 것이다. 임영의 소차는 그가 평생 엄격하게 매진한 학문의 일관된 표출이었으며, 출사와 관련하여 한 말과 보여준 행보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영어초록

    Lim-young(林泳, 1649~1696) w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intended to devote his life to study. However he passed Gwageo exam(Imperial examination), so he had no choice but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chulsa(出仕, starting the work) and sajik (辭職, quitting the work). Between this process, Lim-young wrote a socha(疏箚, memorial to the throne) about sajik and nonsa(論事, discussing a matter). Lim-young once wanted to go to royal court with King Suk-jong’s approval and implement kyungse’s ideal, but the expectation didn’t last long. Rather than reflecting his opinion, he have had several situations where only King Suk-jong’s emotional response has returned. After this situation, Lim-young wrote out his views on man-eonso(萬言疏, socha in 10,000 words) about kyungse(經世) and made a proposal. However King Suk-jong’s reaction was negative, so Lim-young didn’t show up in royal court again.
    I comprehensively examined Lim-young’s opinion about kyungse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socha, how the topic is implemented, and communication aspect. Lim-young made diagnoses and alternatives to pending issues such as the court's budget, eunuch, Cheoksin(戚臣), gongsin(功臣), taxation and military service, personnel system, and defense system. Through the precise composition of paragraphs, the emphasis on a clear platform, and the appropriate use of the accent method, the wimin(爲民) and seonghak(聖學) was closely linked to the specific issues of the time and built a well-organized logic.
    Lim-young was not only cautious about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socha, but also interested in the strategy of narrative and expression. Lim-young’s literary talent has been so famous since he was young, and socha was the style of writing that consistently exhibited with high purity. However, even after experiencing several emotional reactions from King Suk-jong, he wrote a rather intense socha. The main content of his bold socha, which he posted with the attitude that he could leave at any time if the king did not listen, was the seonghak’s kyungse consciousness based on wimin. He repeatedly emphasized sensitive issues that were difficult for the King Suk-jong to accept at man-eonso. The reason why he repeatedly emphasized the problems was that he had to economize it to win public sentiment, and Lim-young thought that the start depends on the king's gongshim(公心). Lim-young’s socha was a consistent expression of his rigorous studies throughout his life, and what he said and showed in relation to chulsa i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