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시어의 특성과 유형 (The nature and types of nonce wo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8.03
38P 미리보기
임시어의 특성과 유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85호 / 45 ~ 82페이지
    · 저자명 : 노명희

    초록

    이제까지 사용되어 온 임시어 개념은 ‘임시 형성(nonce formation)’과 ‘임시 사용(nonce use)’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그 결합이 생산적이어서 어휘부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는 ‘임시 형성’으로, 신어의 전 단계라는 언어 변화의 한 단계로 본 경우는 ‘임시 사용’으로 구분하였다. 그동안 모든 신어가 임시어의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는 주장에 대해 신어의 전 단계가 모두 임시어는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신어에는 단일어뿐만 아니라 차용어, 일반적인 단어형성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계획적인 조어 등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이다. 임시어는 단어형성의 특수한 한 유형으로 신어가 만들어질 수 있는 한 가지 가능한 경우일 뿐이다.
    임시어의 특징은 어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즉석에서 조어된 단어로 형식면에서는 새롭지만 의미면에서는 예측 가능하다는 점이다. 화자가 특수한 발화 상황에서 당면한 필요에 의해 만든 것으로 문맥의존성이 두드러지며 많은 화자에게 통용될 수 없어 수명이 짧다. 전형적인 임시어는 규칙적인 조어에서 벗어난 예들로 특이한 형식을 취하여 화자에게 새롭다는 인식을 준다. 예컨대 한자어 접미사 ‘-적’을 고유어에 결합하여 ‘심적’ 대신 ‘마음적’을 쓰거나 말을 배우는 아이가 ‘운동화’ 대신 어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운동신’을 쓴 경우 등이다. 이 외에 최근 신어 형성에 많이 쓰이는 외래어 접미사 ‘-러’를 결합하여 ‘프로불참러’와 같은 단어를 특정 상황에서 만들어 쓴 경우 등을 들었다. 이는 ‘프로-X-러’와 같은 틀을 형성하여 언제든지 임시어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유형이다. 또한 일반 명사가 반복된 ‘XX-하다’(‘여자여자하다’), 명사합성어 ‘X-바보’(‘설거지바보’), ‘혼-X’(‘혼밥’) 형을 임시어 형성 가능 유형으로 들었다. 이들은 X에 새로운 단어를 넣어 임시어를 형성할 가능성이 많은 유형으로서 어기에 대한 제약이나 ‘-하다’ 결합 여부 등 기존의 단어형성 규칙에서 벗어나는 면이 있어 형식적인 새로움을 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d for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pt of nonce word can be interpreted as two aspects which are nonce formation and nonce use. It depends on how we consider the combination. If the combination is productive and the word is not stored in the lexicon, it is called the ‘nonce formation’. If the combination is considered as one stage of the language change which is prior to the stage of neologism, it is called the ‘nonce use’. Also, this paper insisted that not all the prior stages of neologism are not the nonce word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papers which are insisting that they are. That is because neologism includes not only simple words but also loan words, and intentional coinages which went through normal word formation process. The nonce word is a special type of word formation and it is considered as part of neologism.
    The characteristic of nonce word is that it is a word immediately coined and is new when it comes to the form, while it is predictable when it comes to the meaning. It is the type of word a speaker unconsciously coined in special context and that is the reason why it has relatively short life. Typical nonce word is deviant from regular coinages and it gives impression of newness to the speaker. The Sino-Korean suffix ‘-jeok’ can be combined with the native Korean base. For example, ‘sim-jeok’ can be replaced with ‘maeum-jeok’. Furthermore the occasion where a child who is learning Korean happens to use ‘undong-shin’ instead of ‘undong-hwa’ to fill the lexical gap can be another example. Besides, this paper gave examples such as borrowed suffix ‘-ler’ which is often used to form the new word nowadays. This is a device that has possibility to form the nonce word anytime which makes use of the scheme such as ‘pro-X-ler’. Also, this paper gave examples of ‘XX-hada’(‘yeoja-yeoja-hada’) and ‘hon-X’(‘hon-bap’) schemes to show the possibility of forming nonce word. This words give the impression of formal newness because they are deviant from word formation rul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ion on the base or the combination with ‘-ha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