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문화교류와 '반일' 논리의 변화: '왜색문화' 비판 언설의 궤적 (Evolving Logic of 'Anti-Japanese' in the Context of the Korea-Japan Cultural Interaction: Tracing the Critical Discourse on 'Waesaek Munhw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3
32P 미리보기
한일 문화교류와 '반일' 논리의 변화: '왜색문화' 비판 언설의 궤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과 국제정치 / 31권 / 1호 / 119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초록

    1965년 국교정상화에도 불구하고 한일 양국 간 문화교류에는 수십 년간 제약이 존재했으며, 한국에서 일본문화는 ‘왜색문화’라는 이름으로 금지되었다. 이 글에서는 그 역사적 배경과 함께, 해방 이후 현재까지의 왜색문화 비판 언설의 시대별 전개양상 및 특징과 변화를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이래 한국에서는 유교문명에 기반을 둔 자문화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일본문화를 야만시하여, ‘왜’로 호칭하며 폄하하였다. 역으로 19세기 말 이후에는 근대화에서 앞선 일본이 서구문명을 기준으로 조선과 중국을 야만시하는 ‘문명 대 야만’ 구도가 전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왜색문화 비판의 형태로 일제잔재 청산과 함께 일본문화 유입이 금지되었다. 국교정상화를 전후로 일본과의 정치․경제 교류는 활성화되었으나, 문화 면에서의 ‘반일=왜색문화’ 비판은 더욱 정형화되고 강화되었다. 왜색문화 비판 언설의 특징은 ‘일본적인 특성,’ ‘일본에서 유래한 것’ 전반을 ‘왜색’으로 규정하고, 이를 정부, 언론, 대중적 차원에서 직접화법으로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배제의 대상임을 당연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1990년대 이후의 대내외적 변화와 함께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이 확산되면서 양적․질적으로 변화한다. 왜색 용어의 사용빈도는 현저히 줄어들었고, 당연시되던 비난을 억제하거나 오히려 단정적 비난을 해체하는 문제 제기가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 양국에는 여전히 반일/혐한 현상이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새로운 각도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spite of the normalization of Korea-Japan diplomatic relations in 1965, there existed restrictions on bilateral cultural interaction for decades as Korea imposed ban on Japanese life style and cultural products labeled as ‘waesaek munhwa’. This article summarizes historical background,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ritical discourse against waesaek munhwa since the 1945 independence, by chronicling media reports.
    Since the Chosun dynasty, the Confucian orthodoxism reinforced ethnocentric attitude towards Japanese culture, looking down upon Japan as ‘wae’. But Japan, who became the frontrunner of the modernization, began to define itself as ‘civilized’ opposed to Korea and China as ‘barbarian’. With the independence in 1945, Korea banned import of Japanese cultures, as a part of efforts for de-Japanization(or de-colonization).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in 1965 facilitat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In the cultural arena, however, the anti-Japanese critique of waesaek munhwa was only to get stronger and entrenched deeper. Anything related to Japaneseness or Japanese origin is labeled as waesaek by government, media, and citizens.
    As the economic development, democratization, globalization and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led Korean people to take cultural relativist perspective. So, the above situation has begun to change since 1990s. The term waesaek munhwa is now used with much less frequencies and there has emerged new perspective trying to deconstruct or put a limit to the predominant norm of waesaek munhwa critics. Nevertheless, there emerge new phenomena of ‘hate Korea’ and ‘hate Japan’ discourse and behavior, which requires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 국제정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