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 학생 구성과 졸업생 진로 (Student Characteristic and Graduate Career Path of Choong-Ang Private Secondary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6
47P 미리보기
일제시기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 학생 구성과 졸업생 진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08호 / 57 ~ 103페이지
    · 저자명 : 양원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기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생의 졸업 후 진로를 차례로 검토함으로써 일제시기 인문 중등학교 졸업 學歷의 사회적 위상을 밝히는 것이다. 중앙고등보통학교는 일제시기 경성부 소재 5개 사립고등보통학교 중 하나로 조선인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사립학교로 명망이 높았다. 학교에서는 교육받고자 하는 학생들을 다수 수용함으로써 중등교육 보급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이는 중등학교 진학 과정에서 불리한 처지에 놓여 있던 지방 출신 학생들에게 더욱 유의미하였다.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다수가 관공립학교로 진학하기를 희망하였으며, 최상위 교육기관인 대학에 진학하기를 희망하는 인원 또한 적지 않았다. 이는 졸업생들이 인문 중등학교를 상급학교 진학에 대비하는 중간교육으로 인지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총독부 당국이 상급학교 진학 과정에서 관공립학교 졸업생을 우대함에 따라 사립고등보통학교인 중앙고등보통학교의 졸업생들은 대다수가 관공립학교로 진학하지 못하고 사립학교로 진학하였다. 이에 졸업생들은 재수를 감행하거나,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는 등 상급학교로 진학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생의 진로 경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민족교육을 실시하는 사립학교로 진학하였다고 해서 졸업생들이 일제 식민지 체제에 대한 저항 의식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둘째, 졸업생들은 인문 중등학교 졸업 학력을 보유함으로써 직업 선택의 기회를 늘려나갈 수 있었다. 셋째, 졸업생들은 그들이 보유한 학력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등학교 졸업 學歷 보유자와 상급학교 졸업 學歷 보유자 사이의 지위 격차는 전 직종에 걸쳐 현저하게 나타났다. 즉 개인의 능력과는 별개로 그들의 사회적 지위는 곧 그들의 學歷과 직결되었다. 그들은 당시로서는 드물게 엘리트 교육을 받았음에도 일제가 ‘중등 수준’으로 규정한 영역 내에서만 직종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는 學歷과 사회적 지위가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되는 과정에서 인위적인 위계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status of graduate degree from a academic secondary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reviewing graduate career path who attended Choong-Ang private secondary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oong-Ang secondary school was one of the five private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le it also had a high reputation for providing education for Korean. Choong-Ang private secondary school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secondary education by providing a large number of students who wanted to be educated, especially meaningful for students from rural areas who were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school.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Choong-Ang private secondary school wished to go to government or public schools while there were also a fair amount of students who wished to go to imperial university. This means that graduates perceived academic secondary schools as a form of intermediate education to help prepare for higher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avored graduates from government or public schools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to higher education, the majority of graduates of Choong-Ang secondary school, which was a private secondary school, were unable to go to government or public higher schools and went to private higher schools instead. Consequently, graduates continued to strive for acceptance into more prestigious schools by reapplying next year or studying abroad in Japan.
    The career disposition of graduates of Choong-Ang secondary school are largely summarized into three parts.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graduates actively internalized their sense of resistance to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just because they graduated from private school that conducted national education. Second, graduates were able to expand their career options as a result of acquiring graduate degree from academic secondary school. Third, graduates were able to exercise a certain amount of influence over their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level of education they had acquired.
    But the gap of social status between secondary school graduates and higher education graduates was definite all kind of occupations. In other word aside from individual abilities, their social status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ir level of education. They were only allowed to select their occupation within fields that the Japanese had set as “intermediate level” despite they received elite education at the time. This means that an artificial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linking closely by academic background and social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