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터 브루그만의 저항적 안식일론에 관한고찰과 평가 (A Study on the ‘Sabbath as Resistance’ of Walter Brueggeman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7.06
22P 미리보기
월터 브루그만의 저항적 안식일론에 관한고찰과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88권 / 33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은배, 백근철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구약학자 월터 브루그만의 책 『안식일은 저항이다』를 존재론과 세계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브루그만이 자신의 저항적 안식일신학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한 몇 개념들을 평가하려 한다. 일상화된 위기와 불평등의 세계화에 대한 기독교의 응답으로서 브루그만은 저항적 안식일신학을 전개해 나가면서 안식일을 인간이라는 존재해석의 정초로 삼는다. 그래서 그의 안식일 신학을 세계로부터의 단절이 아니라 세계와 주권적으로 관계하는 진정한 긍정이고 대안적 자아 존재론이자, “정서와 제의와 경제면에서 떠나는” 세계관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안식일이라는 규범적 기표에서 저항이라는 기의를 이끌어 내고, 숙명적·도피적 안식일론이 아닌 역사와 시간의 주체로서의 인간을 브루그만은 자신의 안식일 신학에 반영하여 “위험사회” 혹은 “피로사회”로 표현되는 현 시대에 적절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그러나, 이분법적 구조가 갖는 해석적 한계, 저항적 안식일신학의 걸림돌로 분석된 개인주의라는 개념 적용의 문제, “공동선”이라는 담론이 가진 위험성과 정치사회적 프락시스(praxis)의 결여와 같은 점들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Sabbath as Resistance』 of the American Old Testament scholar, Walter Brueggemann, in the perspective of ontological and world view, and evaluates Brueggemann’s concepts used to support his resistant Sabbath theology.
    As a Christianity riposte to the banalized crisis and globalization of inequality, Brueggemann appoints Sabbath as a cornerstone of ontological analysis of human, while expanding the resistant Sabbath theology.
    Hence, this study inspects his Sabbath theology from the aspect of philosophical transition away from being “emotional, liturgical, and economic”, which is the veritable affirmation and alternative ontology-of-self relating directly to the world; rather than a dissociation from the world.
    Brueggemann creates a signified, resistance, from a normative symbol, Sabbath. Then he initiates a topic appropriate for the contemporary era, described as “risk society” or “fatigue society”, reflecting human to his Sabbath theology as the principal of history and time; not as Sabbath theory of fatalism or escapism.
    However, the factors such as the analytic limitation dichotomous structure has; the issue of applying individualism concept, analyzed as encumbrance to the resistant Sabbath theology; and the risk and absence of sociopolitical praxis that the argument of “the common good” holds are yet disput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