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해의 명태잡이에 대한 한일 갈등과 명태문화의 확산 (Korean and Japanese pollack conflicts and cultural accepta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동해의 명태잡이에 대한 한일 갈등과 명태문화의 확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8호 / 199 ~ 230페이지
    · 저자명 : 정연학

    초록

    명태는 한국을 대표하는 물고기이자 중국, 일본, 러시아에서는 ‘명태’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어획 방식, 건조 및 가공 방법에 따라 그 이름도 다양하여 한국인이 즐겨 먹는 대중적 물고기이다. 또한 북어는 전국으로 유통되어 일상음식, 제사음식으로 이용되어 일상과 비일상을 오가는 물고기인 셈이다.
    명태에 대한 초창기 연구는 동해안 어업현황과 관련하여 주로 일본인에 의해 이루어졌고, 이후 한국인에 의해 어업사적 의미와 어로기술 방면에서 다루어졌다. 민속학적 측면에서는 명태 명칭과 설화, 덕장, 신앙 측면에서 살펴본 글이 더러 보인다. 이 글은 명태가 조선시대 대중적 물고기로 자리 잡는 과정,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동해 출어에 따른 명태를 둘러싼 한・일 어민간의 갈등과 일본 발동선의 등장에 따른 조선 어민의 피해, 명란과 북어를 통한 문화 확산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로는 일제강점기 문헌 및 신문자료, 선행 연구자의 논문, 2015년 이후 한국과 일본 현지조사 내용을 참고하였다.

    영어초록

    Pollack is a representative fish of Korea, and the name ‘myeongtae’ is used in China, Japan and Russia. Its name varies depending on the fishing, drying and processing method, making it an intimate fish for Koreans. In addition, dried pollack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is used as a daily food and ritual food, making it a daily and non-routine fis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ultural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at the same time along with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ing pollack.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newspaper data and field survey data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e colonial period, Japan’s fishing in the Joseon Sea competed with Koreans for pollack fishing. Although Joseon fishermen caught pollack using their traditional tools, Junak and Jamang, Japan competed with Koreans for pollack fishing by installing a tank net that swept all kinds of fish on the fast-paced fishing line as well as the distant sea. The victory of the Japanese fishing boat, which wa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general’s fisheries authorities, was natural, while Joseon fishermen had difficulty in not only fishing but also living in sailors and their families due to their tyranny.
    On the other hand, the two countries exchanged in relation to pollack. For example, Joseon’s art of making pollack and making dukjang influenced Japan, and Korea imported North Korean from Hokkaido, Japan, to compensate shortage of pollack. In addition, copper pollack was distributed in Korea by Japan, which developed the frozen pollack technology. The appearance of crab meat and fish cakes was also made by Japan’s frozen meat technology. Recently, low-salt salted pollack roe made in Busan and elsewhere has acquired a Japanese-style salted pollack roe manufacturing method, indicating that the technology of making pollack roe is circulating from Korea to Japan and from Japan to Korea ag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