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매매 종사 경험이 있는 트랜스젠더의 일 경험 연구 (Occupational Experiences of Transgender Individuals Engaged in Prostitution)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12
45P 미리보기
성매매 종사 경험이 있는 트랜스젠더의 일 경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연구 / 55권 / 4호 / 275 ~ 319페이지
    · 저자명 : 김종빈, 양세정

    초록

    본 연구는 성매매 종사 경험이 있는 트랜스젠더를 중심으로 무엇이 트랜스젠더를 성매매로 이끌었는지 확인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며, 성매매 진입과 경험에서 사회적 보호와의 상호작용이 어떠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성매매 경험이 있는 6명의 트랜스젠더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트랜스젠더 성매매 종사자는 ‘정상적’이지 않은 성별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가정에서 단절되었고 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다 생존을 위해 성매매에 진입하게 되었다. 성매매는 자유를 보장해주는 일처럼 보였으나 실상 그 자유는 모순된 자유였다. 성매매 또한 불안정하고 착취적인 일이었기 때문이다. 성매매에 수반되는 성관계는 자신의 정체성이 부정당하는 경험이며 지정 성별이 각인되는 일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정상’인 것처럼 자신을 연기하고 ‘정상성’을 판매하며 디스포리아를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이 있음에도 성매매는 트랜스젠더 당사자에게 ‘노동’이었고, ‘노동자’로서의 보호를 기대했다. 그러나 공적 공간에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곳들은 실질적으로 접근이 어렵거나 트랜스젠더이기에 경험한 어려움을 포용하지 못했고, 오히려 그 어려움의 증명을 요구했으며, 결국 구조적으로 배제되었다. 본 연구는 트랜스젠더의 성매매 경험을 탐색했고 그 경험을 통해 공적 공간에서의 취약성과 사회적⋅제도적 보호의 허구성을 제시했으며, 트랜스젠더 삶에 대한 풍부한 공적 논의와 성별 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적인 제도에서 권리 옹호적인 사회서비스 및 정책으로의 전환을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rive transgender individuals into prostitution, explore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and analyze their interactions with social safety while engaged in this occupation.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s of six transgender individuals engaged in prostitution were examin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ransgender sex worker often became estranged from their families due to their non-normative gender identities and have turned to prostitution for survival after facing precarious employment situations. Despite prostitution initially appearing to offer a sense of freedom, this freedom turned out to be paradoxical, unstable and exploitative. Moreover, the sexual intercourse during prostitution often conflicted with their gender identity, reinforcing their assigned gender. They had to perform and sell ‘normalcy,’ which exacerbated feelings of dysphoria.
    Despite the challenges, prostitution was ‘labor’ for these transgenders, and they hoped for social protection as ‘workers.’ However, public spaces where they could seek help were practically inaccessible or failed to address the unique challenges faced by transgender individuals. Instead, these spaces often demanded proof of their hardships, resulting in structural exclusion. This study explored the prostitution experiences of transgender individuals, highlighting their vulnerabilities in public spaces and ‘being fictional’ of soci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s. It calls for a richer public discourse on transgender lives and suggest a shift toward advocacy social services and policies that transcend gender binaries and heteronormative frame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