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이프트렌드 변화에 따른 일 문화와 공유오피스 공간디자인 (Work culture and shared office space design according to changes in life trend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5.02
12P 미리보기
라이프트렌드 변화에 따른 일 문화와 공유오피스 공간디자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30권 / 1호 / 137 ~ 148페이지
    · 저자명 : 문선욱

    초록

    연구배경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일종인 공유오피스는 2010년 이후 업무 트렌드 변화로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공유오피스 산업의 성장과 역사적 격변의 시기와 맞물리며 다시 한번 큰 변화가 예상되므로 라이프트렌드 변화에 따른 일 문화에 대해 숙고해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변하는 라이프트렌드와 일 문화를 고찰하여 키워드를 도출하고, 공유오피스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의 특징과 변화를 검증하며, 시대가 요구하는 공유오피스 디자인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통해 공유경제와 공유공간의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 그리고 경제적 측면을 살펴보고, 공유오피스의 개념과 유형, 국내외 동향을 고찰한다. 2. 라이프트렌드 변화와 일 문화의 큰 흐름의 이슈와 이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한다. 3. 사례분석을 통해 도시적 관점, 공간 배치와 구성,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여 라이프트렌드 변화와 일 문화를 반영하는지 검증하고, 향후 공유오피스의 디자인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적 관점에서 공유오피스는 수도권 전역에 입지하여 로컬을 중심으로 분산화 경향을 보이며 사용자는 직주근접의 일상화를 꾀하고 있다. 둘째, 공간구성은 각기 다른 직종과 작업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다양한 공간 옵션을 제공, 지원하고 있다. 특히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보장받고 집중할 수 있는 프라이빗 1~2인 개별사무실 수가 전체 사무실 수의 85% 이상을 차지하며, 보안을 위한 접견실, 폰부스 등 독립적인 업무환경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고 있다. 협업 공간은 업무지원 및 공용공간으로써, 모듈 가구 및 가변형 벽체를 활용한 유연한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셋째, 휴식, 편의시설은 자연친화적 요소를 도입하여 편안하고 안정감을 주며, 전반적으로 밝고 세련된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쾌적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이는 데 이바지한다.
    결론 공유오피스는 이제 대기업이나 대형업체에 의한 특별한 공간이 아니다. 조용하고 역량 있는 다양한 개인이 함께 일하는 공간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직주근접을 실현해 가며, AI에 기반하는 다양한 기술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추가되어, 대중의 친근한 업무공간으로 진일보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Shared offices, a type of business in the sharing economy, have emerged rapidly due to changes in work trends since 2010.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hanges in lifestyle and work culture as major changes are expected once again in line with the growth of the shared office industry and the period of historical uphea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rapidly changing life trends and work cul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suggest the shared office design direction required by the era of change by verifying whether it is reflected in the location, space composition, and design of the shared office through case analysis.
    Methods 1. Through prior research and related literature, the cultural values, social meanings, and economic aspects of the sharing economy and shared space a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type of shared office and domestic and foreign trends are reviewed. 2. Issues of a large flow of life trends and work culture changes and keywords representing them are derived. 3. Through case analysis, urban perspectives, spatial composition and layout, and desig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o verify whether changes in life trends and work culture are reflected, I would like to suggest future design directions for the shared office.
    Result First, from an urban point of view, shared offices are located throughout themetropolitan area, showing a tendency to decentralize around the local area, and users are trying to make the proximity to work a daily life. Second, spac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provide and support various space options suitable for different occupations and work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rivate one or two-person individual offices that can be secured and focused on privacy and security accounts for more than 85% of the total number of offices, and it is responding to the demand for independent work environments such as reception rooms and phone booths for security. The collaboration space is a work support and shared space, and it is increasing its utilization as a flexible multi-purpose space using module furniture and variable walls. Third, relaxation and convenience facilities contribute to enhancing user preference by introducing nature-friendly elements to give comfort and stability, and by providing bright and sophisticated interior design overall.
    Conclusion Shared offices are no longer a special space for large companies. It is a quiet and competent space where various individuals work together, and will realize proximity to work as technology advances, and various AI-based technology services will be added to make them commonplace, and advance into a public-friendly work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