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의 정책 방향 (The Policy Directions of Job Cre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의 정책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地域政策硏究(충북연) / 29권 / 2호 / 25 ~ 52페이지
    · 저자명 : 임형백

    초록

    물론 4차 산업혁명도 아직 학술적 용어로 정착된 것도 아니고, 한국이 언제 도달할지도 확실하지 않다. 4차 산업혁명은 아직까지는 미지의 영역이다. 하지만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사회전체에 걸친 대변혁이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이 선행정책인 지역혁신체제, 녹색성장, 창조경제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선행정책의 토대를 기반으로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선행정책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4차 산업혁명도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4차 산업혁명의 선진국을 보면, 정해진 정책 방향과 사회적‧경제적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즉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통하여, 선행정책과 차별화하는 반면, 4차 산업혁명이 선행정책의 문제점 내지는 실패를 해결하지 않고도 성공이 가능한 마치 새로운 신약(新藥)처럼 과대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은 소득주도성장이라는 명분에 집착하지 말고,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을 잡아야 할 때이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개괄을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일자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기술적 주요 변화 동인(drivers of change)은 도시 뿐만 아니라 농촌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오히려 인구감소, 노령화, 농업의 경쟁력 약화 등의 현안 문제가 있는 농촌에 더 필요할지도 모른다. 현재 농촌에 대하여는 주로 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팜의 형태의 접근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주로 시설원예를 중심으로 한 과학적 관리와 생산성 증가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기술중심의 협소한 접근이라는 한계가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는 스마트 시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농촌에 적용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에서 농촌에 대한 적용으로 스파트 팜과 수직 농장을 예로 들었다. 특히 상당한 시간이 걸리겠지만 수직 농장은 농업 분야에 고용효과가 가장 큰 제조업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정책의 방향으로, ①4차 산업혁명의 주요 변화 동인의 고려, ②정책 방향의 설정, ③선제적 대응, ④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 ⑤노동시장 차별화, ⑥일자리 매칭, ⑦정책 시차 고려, ⑧지식 경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공간적 적용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도시에 대하여는 스마트 시티, 농촌에 대하여는 스마트 팜과 수직 농장을 예로 들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government and a policy direction for ‘job cre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a social issue since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ithout a specific policy orient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in Germany and it spread to around the world. Without policy orientation, policy means, road map, measurement of performance, the rosy blueprint of the government on employm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not be successful.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volution would bring disruptive technological change, thereby changing the current structure of jobs, proper strategies and policies are needed to alleviate its negative impacts on labor markets.
    At this rate, AI may replace most of human labor someday. When that spills over 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creation short termism can be very harmful. Job creation requires a vision of how the economy is likely to evolve and what the government’s long term role will b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abandon our propensity for short termism.
    This study suggest several salient points for making policy direction for employment in the new era as follows; ①identifying key drivers of changes in the revolution, ②setting specific policy direction, ③preemptive action, ④job creation in private sector, ⑤tailored policies consider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condition, ⑥efficient job matching, ⑦consideration of time lag between policy interventions and market response, ⑧promoting knowledge econom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vailable to apply at smart city, smart farm and vertical farm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pplicable across all areas, but smart farm and vertical farming may offer particularly strong opportunities in rur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