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間島 인식 (Recognition of the Gando Reflected on the Historical Geography Book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3.05
34P 미리보기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間島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3호 / 295 ~ 328페이지
    · 저자명 : 장영숙

    초록

    본고에서는 일제시기 출간된 역사지리서를 통해 일본이 간도문제에 대해 가진 시각과 인식이 시기별로 변화해간 점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본은 한국주차사령부, 외무성, 통감부 간도 임시파출소 등의 기관에서 영토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조사를 하기 전까지 간도는 당연히 중국에 속하는 땅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외교권 강탈 후 간도 한민의 보호라는 명목 하에 간도에 진출하여 간도영유권 문제를 조사하면서는 한청 양국 모두에 논리적인 합당함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간도를 간광지대, 무인지대, 중립지대 등으로 파악하였다.
    일본이 한국에 대한 보호권을 갖게 되고 간도에 진출한 이후에는 국익차원에서, 그들의 명분을 합리화하기 위해서라도 간도는 한국의 영토라는 것이 전제될 필요가 있었다. 더불어 간도를 한국의 영토로 주장할만한 역사적, 국제법적 근거는 충분히 있었다. 태조 이성계 이후 세종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상 한국의 고토로 존재해 왔다는 점, 한국은 시종일관 토문강 경계를 고수하고 있다는 점, 간도지역의 한민이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이들은 한국민이라는 인식 속에서 청의 억압에 저항해 왔다는 점, 한국은 간도관리사를 파견해 간도민들을 자국민으로 관리하고 있었다는 점 등은 간도를 실질적으로 한국영토로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일본은 만주로의 진출이라는 그들의 필요에 의해 간도가 한국영토라는 주장을 하기 시작하였지만, 그 근저에는 한국의 주장이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타당한 점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일본정부는 중국이 간도에 대해 절대 양보하지 않자 시급한 현안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중국의 간도영토권을 인정해 주는 것이 득책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간도협약으로 일본이 차지한 경제적 이득은 많았지만, 그들 스스로 한국영토로 인정했던 간도영토권을 중국에 넘긴 사실이 알려지게 되면 국가이미지는 실추할 수 있었다. 때문에 일본은 간도를 둘러싼 한중 영토분쟁과 이에 개입하게 된 경위 등에 대해 자신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하여 국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었다.
    이에 스스로를 동북아의 분쟁을 해결한 ‘평화의 중재자’ 내지 ‘평화의 수호자’ 로서 사실을 왜곡하는 논리를 만들어 내었다. 이어서 역사지리서에도 반영하여 서술함으로써 국가이미지 창출의 기제로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간도협약을 통해 차지하게 된 이익은 소략한 채 한중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평화를 안착시킨 평화의 주인공, 중재자, 수호자로 스스로를 粉飾하였다. 특히 한중일 삼국의 감정과 이해가 교차되는 간도지역의 역사를 서술하면서 침략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탈각하기 위한 수사로만 일관하였던 것이다. 이는 현안의 독도문제 외에도 일본이 저지른 또 하나의 역사왜곡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Japan used to recognize the Gando as a land that belongs to China before they performed investigations to cope with territorial problems through Japanese military HQ in Kore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Residency-General’s temporary police station in Gando. However, the Japanese regarded that both countries of the Qing Dynasty and Korea have logically right reasons while they investigated the Gando ownership as they advanced into the Gando after robbing diplomatic right. Therefore, they regarded the Gando as a vast in-between zone, no man’s land and neutral zone.
    After advancing into the Gando, the Japanese needed to set a precondition that the Gando was a Korean territory in order to justify themselves for their national interest. Moreover, there were enough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legal ground to insist that the Gando was a Korean territory. The Gando could be regarded as a Korean territory with some reasons that the Gando has been existed as Korea’s old territory in the history since the first king of Joseon Dynasty, Yi Seong-gye; there were overwhelmingly large number of Korean people living in the Gando and they resisted to the Qing’s suppression with a recognition that they were Korean people; Korea dispatched the Gando managers to control the people of Gando as Korea’s fellow countrymen. Therefore, Japan began to insist that the Gando was Korean territory because Korea’s insistence was valid and they need to advance into Manchuria.
    The Japanese could have a lot of economic gains from the Gando agreement concluded with the China, but their national image could fall if it was known to the world that they passed over the territorial right of Gando to the China because they accepted that the Gando was a Korean territory. Therefore, the Japanese made a logic to distort the reality by making their image as the ‘peacemaker’ or ‘peace guardian’ who solved the conflict in the Northeast Asia. So they described it in the historical geography book so as to make it as a matter which was already settled to raise their national image. They neglected the profit they took from the Gando agreement but disguised themselves as a peacemaker and guardian who settled down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 and China and brought peace. Especially, the Japanese was consistent in clearing out their image as an aggressor nation while describing the history in the Gando region for which the Korea, China and Japan have mingled emotions and understandings. It can be seen as another historical distortion done by the Japanese beside current Dokdo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