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업으로서 일에 관한 비판이론적 소고 (Work in Crisis: A Perspective from the Critical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3.07
43P 미리보기
직업으로서 일에 관한 비판이론적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45호 / 47 ~ 89페이지
    · 저자명 : 이선미

    초록

    본 연구는 비판이론의 사유 방식의 핵심 원칙을 직업으로서 일(work)의 가치를 둘러싼 위기라는 오늘날의 경험 맥락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비판이론의 방법론적 핵심으로서 부정변증법의 내재적 비판을 소개한다. 이 방법에 따라 막스 베버의 개신교 직업윤리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에서 직업으로서 일에 관한 우리 연구에 필요한 개념적 도구들을 검토한다. 내용적으로는 초기 자본주의 단계에서 종교적 신념윤리라는 비합리적 요소의 합리화 과정에 대한 하버마스의 분석 내용을 소개한다. 이 개념적 도구들과 주장 내용을 기초로, 직업영역에서 기업 조직 합리화와 ‘인성(character)’의 등장 및 붕괴가 어떻게 서로 연관되는지 밝힐 것이다. 이어서 기업 조직과 인성 간의 불안정한 결합이 그 내부로부터 어떻게 자신의 한계를 드러내는지 밝히기 위해, 에바 일루즈가 분석한 20세기 초⋅중반 직장 내 소통 윤리의 등장에 관해 논의한다. 그녀는 ‘감정’의 합리화 과정에 기업의 기술적 도구와 관리 형식들이 어떻게 개입했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20세기 중⋅후반 기업 조직이 ‘인적 자원’의 합리적 관리를 위해 사용한 용어와 기술적 도구들, 관리 형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위에서 소개한 두 가지 합리화의 형식들과 비교한다. 이 탐구 과정에서 본 연구는 자본주의 초기, 조직적 생활방식과 인성이라는 형식이 ‘일의 가치에 관한 신화’를 만들어 냈다면,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인간 욕구의 합리화 형식을 통해 이 신화가 탈주술화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종교적 신념윤리와 감정의 합리화가 주로 일을 ‘어떻게’ 잘 할 것인가와 관련되었던 것과 달리, 인간 욕구의 합리화는 ‘무엇을, 왜’ 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언어와 기술적 도구, 관리 형식들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pplying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Critical Theory to the contemporary context of work in crisis. For the immanent critique as a core principle of Negative Dialectics, it starts with examining social rationalization theory and its conceptual tools developed by Habermas. With these conceptual tools, the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ization of corporate organization and the emergence/collapse of ‘the character’ as a form of human beings in the capitalist workplace context. At first, while reviewing the critics of Habermas on M. Weber’s protestant work ethics, we conclude that ‘the character’ which core essence lies in ‘methodist way of life’ and value-rational justification of his own choice, emerges as a result of rationalization of the religious belief-ethics. At second, while reviewing the work of Eva Illouz on the rationalization of ‘emotion’ in the workplace, we delineates a contradictory nature of the character which is more or less reflected in psychological oppressions and the price to pay for the sake of adhering to the character. At last, while reviewing some of works of humanistic approach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we compare the way how to rationalize ‘human needs’ with the two different ways already discussed above, and its effects on the enchantment/disenchantment of work value. In doing so, it focuses on technical instruments, knowledge, and management forms initiated by the corporate organizations for the purpose of rationalizing other aspects of human beings than the character.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the ‘myth of work value’ began to be led to “disenchantment” in the late 20th century. It is explained by the terms, knowledge, and management forms used by corporate organization which are related to ‘what and why’ to do instead of ‘how’ to 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