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Study on northern borders of Balh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6.03
39P 미리보기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54권 / 87 ~ 125페이지
    · 저자명 : 정석배

    초록

    한국과 중국의 연구자들은 발해의 북방경계가 아무르 강까지 이른 것으로 판단하지만 오늘날 러시아의 대부분 연구자들은 그 경계가 한까호 일대와 연해주의 남부지역에 국한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의견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문헌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기인하지만, 러시아 학계에서는 ‘발해유적’의 분포현황도 발해의 북방경계를 연해주 남부지역으로 국한하는 주요 근거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문헌자료에는 발해 영역의 크기가 방2천리와 방5천리였고 그리고 발해가 모든 말갈제부를 복속하였다고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발해의 북방경계 문제를 문헌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통해 몇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먼저 구국 시기의 방2천리와 발해 전성기의 방5천리는 영주에서동모산(돈화 성산자산성)까지 그리고 현주(서고성)에서 발해왕성(상경성)까지의 직선거리를 통해 방2천리는 최소 방514㎞, 최대 방660㎞, 평균 방587㎞, 방5천리는 최소 방1,285㎞, 최대 방1,650㎞, 평균방1,467㎞이었음을 산출하였다.
    다음에는 말갈제부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문헌자료의 내용과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 및 발해에 복속된 말갈제부들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발해는 말갈7부 이외에도 사모, 군리, 굴열, 막예계, 우루 등 북방의 모든 말갈들도 복속시켰다. 흑수말갈도 일정 기간은 복속시켰는데 흑수말갈의 서쪽과 북쪽 그리고 북동쪽에 위치하는 사모, 군리, 굴열이 발해에 복속되었다는 사실은 그 사이에 위치한 흑수 역시 발해에 복속되었음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고고학 자료를 통한 검토에서는 먼저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요녕성에서 시작하여 길림성, 흑룡강성을 지나 연해주 동해 연안까지의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서방 및 북방한계선은 석대자산성 주변 고분군-농안고성-백도고성-석두인유적 혹은 발리하삼도교유적-고성촌고성-십이련산성-안흥고성-끄라스나야 소쁘까 2 유적-마리야노브까 성-시니예 스깔르이 유적을 잇는선임을 알 수 있었다.
    발해의 북방경계 문제와 관련하여 해결해야할 중요 과제 중의 하나는 뽀끄로브까 문화를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아무르 여진 문화’로 불리기도 하는 이 문화는 서기 7~13세기로 편년되고 있지만 실제 서기 10세기를 과도기로 하여 그 전과 후가 문화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서기 10세기까지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은 ‘발해말갈’의 유적으로 간주되고 있어 사실은 발해의 유적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말갈유적의 분포현황과 흑수말갈의 이주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늘날 말갈유적은 길림성과 흑룡강성 그리고 연해주지역뿐만 아니라 아무르 강 중하류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멀리 아무르 강 하류의 수추섬에서 그리고 서쪽으로는 멀리 쉴까 강 유역에서까지도 확인되고 있다. 동아무르 일대의 나이펠드-동인 문화 유적들은 흑수말갈이 남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나이펠드-동인문화는 서기 4~7세기까지는 동아무르 지역에 분포하였지만, 서기 8세기 이후에는 동아무르지역에서 사라지고 대신 소흥안령 서쪽의 서아무르지역에서 발전하게 된다. 이 사실은 흑수말갈이 발해의 북진정책으로 인해 동아무르 지역에서 서아무르지역으로 이주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나이펠드-동인 문화 이후 동아무르지역에서는 발해의 일부였던 뽀끄로브까 문화가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발해의 북방경계는 서북쪽으로 소흥안령을 지나고, 북쪽으로 나이펠드-동인문화 유적들의분포범위와 서기 10세 초까지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 분포 범위를 포괄하며, 동북쪽으로는 발해시기말갈유적이 분포하는 연해주 북부의 사마르가 강 하구까지를 잇는 선임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발해의 방2천리는 본원적인 발해유적 및 말갈유적의 전체 분포범위의 크기와 각각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Korean and Chines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northern border of Balhae reaches the river Amur, but almost all Russian researchers consider that it limited by the area of Lake Hanka and south of Primorye Region. The difference of opinion is based mainly on different interpretation of written sources, but for Russian scientists the setting of “Balhae sites” location is also important to limit the boundaries of Balhae in the south of Primorye.
    Written sources clearly state the size of the territory of Balhae is square 2000 ri on side and square 5000 ri on side and all Malgal (Mohe) tribes are subordinated to Balhae. In this regard, the question on the northern border of Balhae we studied in some aspects, on the grounds of written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First of all, the article specifies the dimensions 2000 ri during the Old state (ie, the initial period of Balhae) and 5000 ri during the rise of Balhae. Considering that 2000 ri is the distance from Yingzhou to Dongmosan (now the mountain settlement Chengshanzi) and 600 ri is the distance from Hyeonju (now Xigucheng) to the royal city (Sanggyeongseong), we calculated that the square 2000 ri on side is the square at least 514 km, a maximum of 660 km, an average of 587 km on side and square 5000 ri on side is the square at least 1285 km, a maximum 1650 km, 1467 km an average on side.
    Then we studied the relative location of Malgal tribes (by written sources) and the results of its study by different scientists, as well what Malgal tribes were subjugated by Balhae. Balhae subjugated all the 7 main Malgal tribes and other Malgal tribes, namely Simu, Junli, Kushuo, Moyejie, Yulou, Yuexi, Tieli. Heishui Malgal, too were subordinated to Balhae for some period of time. The fact that Simu, Junli and Kushuo Malgal, who were in the west, the north and north-east of Heishui Malgal, that is surrounded Heishui Malgal, were subjugated by Balhae confirms htis opinion.
    In connection with archaeological materials we specify the location of proper Balhae 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stern and northern borders of Balhae sites pass through the burial ground near the mountain fortress Shitaizi – fortress Nongan – fortress Bodu – Shitouren site or Bolihesandaoqiao site – fortress Guchengcun – mountain fortress Shierlian – fortress Anxing – Krasnya Sopka 2 site – fortress Marianovka – Sinie Skaly site that starts from Liaoning province, goes through Jilin and Heilongjiang provinces and reaches the cost of the East Se ain Primorye.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the northern border of Balhae is Pokrovka culture. This culture, which is also called “the culture of the Amur Jurchens” is dated from 7 to 13 centuries BC, but its material culture before the 10th century and after it very differs. Pokrovka culture sites before the 10th century are considered also as “Balhae Malgal” sites, in other words, they are Balhae sites.
    Next, we considered situation of Malgal sites location and problem of Heishui Malgal migration. Malgal sites at present are found not only in Jilina nd Heilongjiang provinces and in Primorye, but also in the Middle and Lower Amur region, and even further to east, on Suchu island in Lower Amur Region, and to west at the river Shilka. Nayfeld- Tongren culture in the Amur region is considered to belong to Heishui Malgal. This culture developed in the Eastern Amur region in the 4-7 centuries BC, but then, after the 8th century, it disappeared there and developed in the Western Amur region, which is located to west of Lesser Khingan ridge.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Heishui Malgal moved from the Eastern Amur region to the Western Amur region because of Balhae’s policy of development of the North (under constraint of Balhae). In the East Amur region after Nayfeld-Tongren culture develops Pokrovka culture, which is likely to be part of Balhae.
    Consequently, the northern border of Balhae in the north-west passes from the Lesser Khingan mountain ridge, covering in the north the terroitry of Nayfeld-Tongren culture (in the Eastern Amur region) sites location and the territory of Pokrovka culture sites (before the 10th century BC) location, in the north-east it reaches the mouth of the river Samarga in Primorye, where Malgal sites of Balhae time are located. It is interesting that the square 2000 ri on side in general (approximately) has the same size as the actual territory of Balhae sites location and the square 5000 ri on side has the same size as the actual territory of Balhae sites and the territory of Malgal sites lo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