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한 성립의 고고학적 일고찰 (An Archaeological Study on Formation of Mah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9
50P 미리보기
마한 성립의 고고학적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9호 / 47 ~ 96페이지
    · 저자명 : 최완규

    초록

    이 글은 최근 만경강유역에서 군집을 이루고 발견되는 토광묘 축조집단을 마한 정치체의 성립주체로 파악하고, 공반되는 제의유적은 이를 뒷받침한다는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마한의 공간적 범위에 해당하는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마한 성립 이전 문화양상은 송국리형 집자리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묘제에서는 금강하구와 만경강유역에서는 소위 송국리형 묘제가, 호서지역에서는 지석묘와 송국리형 묘제가 혼재되어 있고, 고창 이남의 전남지역에는 지석묘가 축조되고 있다.
    이 지역에는 기원전 4세기경 서북한 지역의 정치적 변혁을 계기로 내려온 집단에 의해 적석목관묘와 기원전 3세기 전후에 토광목관(직장)묘가 축조되는데, 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 청동기류, 철기가 주로 부장된다. 적석목관묘는 만경강유역에 토광묘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이전에 들어온 선행적 집단으로, 전통성이 강한 지석묘나 송국리형 묘제의 중심영역에서는 강한 배타성 때문에 군집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곧 적석목관묘 축조집단은 새로운 정치체 성립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만경강유역에서는 토광목관(직장)묘 유적이 19개소 이상에서 밀집도가 높은 군집양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토광의 규모나 출토유물 등에서 보면 집단 간에는 현격한 위계차가 확인되지만, 동일 문화체로서 마한 정치체 성립의 구심체가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양상은 고조선 준왕의 남천과 더불어 남하한 집단과 친연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묘제와 더불어 제의와 관련된 의례도 함께 들어 왔을 것인데, 토광묘 유적과 시·공간적으로 같이 하는 제의유적인 구상유구가 그 증거이다. 그리고 『삼국지』 한조에 보이는 천군은 제의를 주관하면서 사회통합의 정치적 지도자로서 역할도 동시에 수행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is based on the view that the group who constructed pit tombs discovered recently in the form of cluster on the basin of the Mangyeong River shall be assumed to be the political main body that formed Mahan. This assumption is supported by the relics of accompanied ritual furnishings.
    In the midwest of the Korean peninsular which corresponds geographically to Mahan, Songgukri=type dwelling sites are widely scattered around. In view of the tomb system, however, the so-called Songgukri-type tombs are found in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and on the basin of the Mangyeong River while dolmens and Songgukri-type tombs were confounded in Hoseo or Chungcheong-do area and dolmens were constructed in the most part of Jeollanam-do south of Gochang.
    In these regions, piled-stone wooden coffin tombs as well as pit wooden coffin tombs were constructed by the group who was forced down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in the northwest of Korea around th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Heukdojanggyeongho or black pottery with long neck (黑陶長頸壺), iron ware and bronze ware used to be found as burial accessories in these tombs. Piled-stone wooden coffin tombs belonged to the antecedent cetegory which was introduced before pit tombs began to be constructed in full scale on the basin of the Mangyeong River. They were found to fail to form clusters in the central area of dolmens or Songgukri-type tombs which showed strong exclusivism. In other word, it may be said that the group which constructed piled-stone wooden coffin tombs could not play a central role in forming a new political system.
    But, in the river basin area of Mangyeong River, relics of pit wooden coffin tombs (tombs without coffins) have been found in more than 19 sites in the form of highly dense cluster. Judging from the scale of pit tombs and kind of relics un-earthed, there seemed to be a marked difference of rank among groups but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centripetal force in laying the ground for the political system of Mahan as they belonged to the same cultural area. Such cultural aspect as this might act as a factor promoting close friendship with the group which came down south along with the southward migration of the King Jun of the Old Joseon Kingdom.
    Together with introduction of the new tomb system, ceremonies connected with ancestor memorial must have been introduced as well, which could be evidenced by the relics of pit tombs and Gusangyu or ritual relics, both of which share the common factor of religious ceremonies in time as well as in space. The heavenly king mentioned in the chapter of Han Dynasty in the 『Chronology of Three Kingdoms』is presumed to have played the role of political leader for social union while presiding over the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