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女訓書 비교 연구 시론 (Comparative Study of Korean-Japanese Yeo-Hoon-Seo(女訓書))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6
34P 미리보기
한․일 女訓書 비교 연구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7호 / 105 ~ 138페이지
    · 저자명 : 성민경

    초록

    전근대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조선, 명․청, 일본에는 공히 ‘여훈서’로 범주화할 수 있는 문헌들이 존재했는데, 이러한 사실은 세 나라가 유교 성리학이라는 가치체계를 공유하는 공동문명권이었음을 증명하며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한다. 이에 본 논문은 한․일 여훈서 비교 연구를 위한 시론 격으로, 17세기 말~18세기 초의 조선과 일본의 여훈서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여훈서의 내용이 그것이 전개된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각국의 역사적․사회문화적 배경에 바탕을 두고 여훈서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17세기 말~18세기 초 조선과 일본의 여훈서는 출가 이후 여성의 삶에 대한 이상적인 전망을 제시한다는 저술의 계기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저술의 계기는 자연스럽게 ‘출가외인’으로서 시가에 전적으로 치중하는 ‘며느리’로서의 여성 규정으로 이어진다. 타문에서 남편과 시부모를 받드는 존재로 여성을 규정하기 위해서 수반되는 것은 위계화와 차등화의 전략이다. 양국의 여훈서는 여성의 열등함을 선언함으로써 차이를 구성하고, 그것을 본질화․자연화함으로써 위계를 고착시킨다. 그리고 17세기 말~18세기 초 조선과 일본의 여훈서는 가정의 유지와 번영을 책임져야 하는 존재라는 여성 존재에 대한 규정은 공유하고 있지만, ‘문자 사회’라고 할 만한 정치 체계와 ‘이에’ 제도의 성립이라는 당대 일본의 역사․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여성의 문자 학습과 교양 습득에 있어 이견을 드러내고 있다. 양국의 역사․문화적 배경의 차이는 가계와 가산을 담당하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조선 여훈서는 가계 운영에 대한 가장의 간여를 배제했지만 일본 여훈서는 가계 운영 및 가산 보존에 있어 여성의 책임을 충분히 강조하는 동시에 남편이 그 시비를 살펴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三從’과 ‘七去’에 대한 양국 여훈서의 서술 방식의 차이는 당대 양국의 성리학 도입과 수용 정도의 일단을 살필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조선 여훈서 3종에서 모두 다루고 있는 ‘奉祭祀’에 대한 내용이 일본 여훈서에는 없는 점은 혈연을 중시하는 조선과 혈연보다는 직능을 중시하는 당대 일본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결과이다.

    영어초록

    In the Joseon Dynasty,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Japan, which constituted the pre-modern East Asia, there were documents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Yeo-Hoon-Seo(女訓書)’. This fact proves that the three countries were the right of common civilization to share the value system of Confucian Confucianism and evokes the need for comparative studies. Therefore, this thesis is a poetic case for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Japanese postscripts, and attempts to examine the Yeo-Hoon-Seo of Joseon and Japan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Since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contents of a Yeo-Hoon-Seoshould be understoo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world in which it has been developed, analysis of the Yeo-Hoon-Seo was conducted based on the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each coun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eo-Hoon-Seo of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share the opportunity of writing that suggests an ideal prospect for women's lives after marriage. The momentum of this writing naturally leads to the woman's rule as a ‘daughter-in-law’, who focuses entirely on poetry as a ‘Chool-gah-wayne(出嫁外人)’. It is the strategy of hierarchic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that accompanies other families to define women as supporters of husband and father-in-law. The Yeo-Hoon-Seo of the two countries constitute the difference by declaring women's inferiority, and fix the hierarchy by making it essential and natural. In addition, the Yeo-Hoon-Seo of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differ in terms of women's learning of letters and liberal arts due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Japanese political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E(家)’ system is revealing.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method of Yeo-Hoon-Seo in the two countries could be an indicator of the degree of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Sung Confucianism in both countries at the time. Lastly, the fact that Japanese Yeo-Hoon-Seo do not contain the content of ‘Bongjesa(奉祭祀)’ covered in all three Joseon Yeo-Hoon-Seo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Joseon, which values blood ties, and Japan at the time, which values skill rather than blood 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