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A Study on Hyeon Gongryeom’s Ilseon Japga(日鮮雜歌)』–Cultural Translation and Transitio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7
20P 미리보기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88호 / 137 ~ 156페이지
    · 저자명 : 노혜경

    초록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이하 『일선잡가』)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에는 일본의 와카 등 시가뿐만 아니라 산문 재담 역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일선잡가』의 구성법은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잡가집의 구성법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일선잡가』의 구성 방식의 가장 큰 목적과 효용성은 대중성을 높이는 일에 있었다. 『일선잡가』는 수록된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표기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문 서두의 와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이중언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선잡가』는 조선어 번역문 표기에서 ‘직역’과 ‘의역’으로 나눈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일본어문을 이처럼 ‘직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한것은 여기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초의 사례이다. 『일선잡가』의 이중언어표기 방식은 그가 과거에 시도하던 사례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일선잡가』의 다양한 표기 형태는 이중언어 표기 방식이 시대적 흐름 및 독자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선잡가』에 실린 와카는 내용 면에서 보면 봄과 여름 등 계절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소재의 공통성보다 더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들 작품의 내용이 이른바 일본의 정신을 표현하거나 천황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와카뿐만 아니라 기타 잡가 및 나니와부시등 여타 장르의 작품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본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이들 작품의 내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기도 했다. 『일선잡가』는 식민지 시기 문화의 번역과 전이 현상 및 그에 따른 저술가의 방법론적 고뇌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refers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apga collection published in Japan at that time. The biggest purpos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is to increase its popularity. Except for the explanation of Waka in the beginning, most of the 『Ilseon Japga』 uses bilingual notation consisting of Japanese and Korean. 『Ilseon Japga』 presents two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divided into ‘literal translation’ and ‘paraphrase’.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book to divide a single Japanese sentence into a ‘literal translation’ and a ‘paraphrase’. The bilingual notation of 『Ilseon Japga』 is different from the cases he tried in the past. This shows that the writ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type and level of readers. The commonality of the contents of Waka published in 『Ilseon Japga』 is that it is based on seasons such as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these works express the spirit of Japan or praise the reign of the Emperor. These contents can be found not only in Waka but also in other genres such as such as other miscellaneous songs. 『Ilseon Japga』 shows the translation and transition of colonial culture. And it shows the writer’s methodological anguish related to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