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선교사 빌렘의 한국인 민족운동 인식 (French Catholic missionary, Wilhelm’s perception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6
21P 미리보기
프랑스 선교사 빌렘의 한국인 민족운동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8호 / 149 ~ 169페이지
    · 저자명 : 양인성

    초록

    빌렘은 1889년부터 1914년까지 한국 천주교회에서 활동한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였다. 그는 한국사회에 부패와 억압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보았다. 빌렘은 한국의 진로를 결정할 러일전쟁이 발발하였는데도 한국인들이 국가의 위기를 걱정하지 않는다고 했다. 전쟁과 사회 혼란에 대처하지 못하는 한국 정부의 무능함도 비판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가진 빌렘에게 일제의 한국 지배는 당연한 결과였다. 한국의 장래가 이미 결정되었다고 본 빌렘은 한국인의 민족운동에 부정적이었다.
    빌렘의 한국인 민족운동 인식을 잘 보여주는 사건은 안중근 의거였다. 안중근은 빌렘이 사목하는 청계동본당 신자였다. 여순감옥에 수감된 안중근은 빌렘에게 성사를 요청하였다. 빌렘은 안중근 의거가 “정당화될 수 없는 범죄”임을 분명히 했다. 안중근 면회를 이유로 조선대목구장 뮈텔이 성무 집행 정지 처분을 내리자, 빌렘은 안중근을 면회하는 것이 정치적인 문제와 관련 없으며 안중근에게 종교적 위안을 주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와 같은 빌렘의 입장에는 안중근 의거에 대한 이해나 옹호는 보이지 않는다.
    빌렘은 경술국치 이후에 한국이 “일본화”되면서 “거의 문명화된 나라”가 되었다고 했다. 일제와 대립하지 않고 신중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고, 민족운동이 선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그는 1911년에 독립운동에 투신한 청계동본당 신자 안명근을 일제 당국에 고발하기도 했다. 그런데 빌렘은 1913년에 돌연 안명근의 사면을 총독부에 요청했다. 하지만 이는 안명근의 독립운동을 이해해서가 아니라 안명근이 “참회”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처럼 빌렘의 한국인 민족운동에 대한 인식은 안중근 의거 이전이나 이후나 거의 변함이 없었고, 동료 선교사들의 인식과도 큰 차이가 없었다.

    영어초록

    Wilhelm was a missionary, a member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l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and he worked for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from 1889 to 1914. He thought that the corruption and the oppression had been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 Wilhelm said that Koreans did not worry about national crisis though the Russo-Japanese War which might decide the Korea’s future had broken out. He also criticized the inability of the Korean government to deal with the war and the social disorder. For Wilhelm who had this perception, the Japanese domination of Korea was an obvious result. He thought the future of Korea had already been decided, therefore he was cynical about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In Ahn Jung-geun’s patriotic deed, Wilhelm’s perception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was clearly shown. Ahn Jung-geun was a member of the Cheonggyedong Catholic church where Wilhelm did his pastoral work. Ahn Jung-geun imprisoned in Lushun Prison asked Wilhelm to give sacraments. Wilhelm clarified that Ahn Jung-geun’s patriotic deed was an “unjustifiable crime”. Mutel, vicar apostolic of Joseon had determined the punishment, the interdíctum for Wilhelm visiting Ahn Jung-geun in prison, thereupon Wilhelm asserted that his visit had not been involved in political issues and the visit had taken place for only bringing Ahn the solace of religion. Neither understanding nor defence of Ahn Jung-geun is found in Wilhelm’s position.
    Wilhelm remarked that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Korea undergoing “Japanization” had become an “almost civilized country”. He said it was needed to be prudent without coming into conflict with Japan, and he thought the national movement had negative influence on missionary works. He even denounced Ahn Myeong-geun, a member of the Cheonggyedong Catholic church, who had join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1,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Unexpectedly, in 1913, Wilhelm asked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 pardon for Ahn Myeong-geun. However it was not because Wilhelm understood Ahn Myeong-geun’s independence movement, but because he felt that Ahn had “repented”. Thus, Wilhelm’s perception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remained much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Ahn Jung-geun’s patriotic de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his fellow mission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