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조참가인에 대한 판결효의 본질 (Nature of the Effect of Judgment on Interven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2.08
21P 미리보기
보조참가인에 대한 판결효의 본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19권 / 2호 / 397 ~ 417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환

    초록

    민사소송이 당사자 사이의 분쟁을 상대적으로 해결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확정판결의 본래적 효력인 기판력과 집행력 등은 소송당사자인 원고와 피고에게만 미치며 제3자에게는 미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민사소송법」 제77조에서는 보조참가인에 대한 재판의 효력에 관하여 “보조참가소송에서 내려진 재판은 일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조참가인에게도 그 효력이 미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재판의 효력이 무엇인지, 즉 기판력인지 아니면 특수한 효력인지에 관하여는 견해가 대립되는데 기판력설, 참가적 효력설, 신기판력설이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문제가 되고 있는 「민사소송법」 제77조에서의 보조참가인에 대한 판결효의 본질을 학설의 대립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보조참가제도의 목적은 피참가인을 승소시킴으로서 참가인 스스로가 이익을 보는데 있다. 보조참가인은 그 판결의 기초형성에 관여한 지위가 부여되었고, 여기에서 보조참가인이 피참가인과 공동으로 소송수행을 할 수 있다는 지위는 판결의 기초를 공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지위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참가인이 자기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하여 타인이 받을 판결의 기초를 형성한 이상 그 기초에 의거하여 내린 판결의 판단에 구속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보조참가인에게 충분한 절차가 보장될 경우에는 피참가인과의 관계를 넘어서 당사자 상대방과의 관계에서도 판결효가 발생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볼 것이다.
    그렇다면 보조참가인과 피참가인, 보조참가인과 상대방 당사자 사이에 발생하는 판결효의 성질을 어떤 효력으로 볼 것인가? 보조참가인에게 절차가 보장되었고, 당사자와 보조참가인이 자기의 책임하에 충분히 다투었고, 또 그것에 대하여 법원이 판단을 내렸다면 보조참가인과 상대방당사자 사이에도 적용되는 판결효는 기판력이나 참가적 효력과는 별개의 것으로서, 즉 「민사소송법」 제1조(신의칙)에 의하여 인정된 새로운 제도적 효력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an accepted principle that the primary effect of a final judgment, binding power and executory power, shall have an effect only on the parties - the plaintiff and the defendant- rather than the 3rd parties because a civil suit aims to resolve a dispute between the parties of a case. As for the effect of judgment on intervenor, however, Article 77 of the Civil Procedure Act prescribes that “a judgment shall also be binding on an intervenor except for a certain instances.”There has been competing different views on what such effect is- whether it is a binding power or other special power. Those views have been recognized as a theory of binding power, a theory of collateral effect and a new theory of binding power. This article focuses on examining those competing theories to find out the nature of the effect of judgment on intervenor which is prescribed in Article 77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purpose of the system where an intervenor is allowed to participate in a suit is to make that intervenor himself or herself gain a benefit from the judgment in favor of him or she. Here, the court grants a person a status of intervenor because it recognizes that the intervenor has participated in constituting the backgrounds of the case at issue. That status of intervenor means that the intervenor can join the party for the case proceeding. Thus, it is no wonder that the final judgment of that case based on the backgrounds of case is binding on that intervenor so far as he or she is involved in those backgrounds and gets benefits from the winning of that case.
    Therefore, if a necessary procedure is guaranteed for an intervenor, there may be enough grounds that the intervenor on its own can enforce the final judgment against the opposite party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venor and the opposite party not to men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venor and the party whom the intervenor join.
    If that is the case, what is the nature of effect of final judgment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venor and the opposite party? We can deem that, apart from its binding effect or collateral effect, the effect of final judg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venor and the opposite party amounts to a new institutional effect recognized by the principle of sincerity and faithfulness of Article 1 of the Civil Procedure Act if a necessary procedure is guaranteed for an intervenor; the party and the intervenor at their own risk sufficiently make arguments against opposite party; and the court makes its decision based on those arg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