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율적인 교양생명과학 교육방안 연구 (How to Improve Biology Courses for Non-majo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8.11
9P 미리보기
효율적인 교양생명과학 교육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양교육학회/전국대학교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8년 추계 국제학술대회 / 190 ~ 198페이지
    · 저자명 : 김선영, 박희문

    초록

    기초(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생명과학은 정보통신기술(ICT)과 나노기술(NT) 등의 첨단기술과 결합하면서 ‘유전체학(Genomics)’과 ‘단백체학(Proteomics)’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분야인 오믹스(Omics) 시대를 출현시켰으며, 4 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타 과학기술분야와 융합하고 공조하여 신기술 분야를 끊임없이 창출함으로써 인류미래를 책임질 핵심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생명과학은 우리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학이라는 점에서, 학문적 관점이아닌 생활과 밀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쉽고 흥미로운 교양 수준의 생명과학’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강생 대부분이 생명과학 비전공자인 현행의 교양생물학은 ‘적절한 교재의부재’, ‘전문용어의 생소함’, ‘과다한 학습량’, ‘강의내용의 평준화’ 등으로 인해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수자도 만족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 없이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생물학 기반의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비전공자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교양생명과학 교육방향설정이나 효율적 교육체계개발 등과 관련한 연구로는 국외의 경우, 2005년 Wright가 제안한 ‘비전공자를 위한생물학 강좌의 7가지 원칙’과 2011년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가 교양으로서 일반생물학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한 ‘Vision and Change’가 대표적이다. 국내연구로는 2009년 ‘이보경’ 등이 인문사회계열 학생의 기초과학에 대한 요구 및 인식수준과 기존 과목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 발표한 논문과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의 발제논문(조은희, 2016: 박돈하, 2017)을 제외하고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과학에 대한 관심을 고취 시키고 일상에서 접하는 생명현상의 이해를 도우며, 융합적 상상력 제고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등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양생물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제시된 국내외 연구결과, 글로벌 선도대학의 교육방향과 국내 중/고등학교 교육정책 등의 교육외적 환경변화, 그리고 교양생명과학 수강생의 요구조사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수강생 수요조사 결과로부터는 새로운 개념의 교양생물학 강좌가 담아내야 할 내용으로 ‘생명현상의 기본개념 이해를 위한 용어’, ‘일상과 연관된 생명과학 용어와 주제’ 그리고 ‘지적 호기심 충족및 흥미유발용 질문’ 등에 대한 구체적 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Biology brought the era of Omics such as Genomics and Proteomics to the world when it was combined with ICT and NT.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iology has continued creating new technologies merging with other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as become one of the major fields for the future of human race. Unfortunately, students and biology faculty members are not satisfied with current non-majors’ biology courses due to lack of proper textbooks, unfamiliarity with terminology, too much learning volume, and standardization of lecture quality, etc. Without solutions for these arisen problems, biology-based creativity allied with other technologies cannot be expected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owever,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well to establish educational guidelines with new concepts and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non-biology majoring students.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new approaches to improve scientific literacy for non-biology majors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previously,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world leading universities,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policy in Korea, and undergraduates’ perception of science in biology courses. As a result, we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for enhancing scientific literacy for non-biology majors: 1. Topics to improve biology concept and its’ applicability, 2. Relocation of customized courses by level, 3.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basic terminology for concept formulation, 4. Classes considering the major of students. We also provided some examples of ‘Terminology for understanding basic concepts of life’, ‘Biology terms and topics related to everyday life’, and ‘Questions provoki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interest’ for successful education in general bi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양교육학회/전국대학교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8년 추계 국제학술대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