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인의 제3차 울릉도 침입 (Japanese Third Trespass to Ulleungd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0.04
25P 미리보기
일본인의 제3차 울릉도 침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35호 / 199 ~ 223페이지
    · 저자명 : 박병섭

    초록

    메이지(明治)시대에 들어가서 일본인들의 해외 진출이 잦아짐에 따라 천연자원이 풍부한 울릉도가 주목받게 됐다. 그러던 중 해군경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는 스스로 출자하여 무기상인 오오쿠라(大倉)재벌과 함께 울릉도에서의 벌목사업을 시작했다. 이때 인부의 수송 등에는 일본의 국기를 단 해군군함을 사용했다. 관민이 하나가 되어 울릉도에 침입한 것이다.
    에노모토는 외무성내에서 소속이 확실치 않은 그저 무인도라고 여겨지던 울릉도에 민간인의 거주실적을 만들어냄으로써 만국공법상의 영유권 확보를 노린 것이 아닌가라고 추정된다. 해군의 울릉도 침입을 계기로 야마구치현(山口縣)을 중심으로 울릉도에 침입하여 느티나무 등을 베어가는 자들이 속출했으며, 그 숫자는 약 400명에 달했다. 그들은 울릉도에 ‘일본제국 마쓰시마’라는 표목까지 세웠다.
    이러한 일본인들의 침입을 조선정부가 알아 챈 것은 1882년이었다. 조선정부는 일본에 항의함과 동시에 울릉도에 검찰사를 파견해 일본인들의 실태와 울릉도 개척의 가능성을 조사하기로 했다. 명을 받은 이규원은 조사 과정에서 일본인들 6, 7명이 오두막을 짓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그들과 필담을 나누었다. 그 내용은 이규원 『울릉도 검찰일기・계초본』에 기록됐으나 일본에서도 『메이지17년 우쓰료토 잇켄로쿠(明治十七年 蔚陵島一件錄)』등에 기록됐다. 두 자료는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다.
    조선정부는 공도정책을 전환하여 울릉도의 개척을 시작했다. 1883년에 54명이 울릉도로 들어갔으나 개척민은 어려움 속에서 굶주림에 시달렸다. 그럴 때 개척민은 일본인들부터 식량의 혜여를 받았다. 그 대신 일본인들의 벌목을 인정하는 등 그 대가도 컸다.
    한편 조선정부의 항의를 받은 일본정부는 다음해 1883년 3월 울릉도로의 도항을 금지하는 태정관의 유달(諭達)을 발포하고 반년 후에는 울릉도에 남아있던 일본인 전원을 쇄환했다. 그들은 귀국 후 재판에 기소됐는데 전원 무죄였다. 일본인들의 울릉도 침략은 일본의 법령상 죄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Meiji Era, Japanese became to expand overseas. They paid attention to Ulleungdo which was rich in natural resources. Especially, the Ministry of Japanese Navy, Enomoto Takeaki started a logging business at Ulleungdo with the Ohkura financial combine. He used a warship putting up an ensign to transport laborers to the island. These fact meant that Japanes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worked hand in hand to invade to Ulleungdo which was almost vacant.
    Enomoto might aim to establish Japanese right to possess the island by practical use of it. Japanese Navy’s invasion triggered massive trespass of people at Yamaguchi prefecture to the island. Their number was approximately 400. They logged zelkova trees and transported them to Japan. Once, they put a landmark naming the island as 'Matsushima, the Great Japanese Empire'.
    In 1882, the Choseon government found Japanese invasion. The government protested to Japanese government about it and conducted an on-the-spot investigation to clarify the actual situation of Japanese invasion and possibility of reclaiming land. An inspector of Ulleungdo, Lee Gyu-won investigated residents and found 6-7 Japanese lived in poor houses. He communicated in writing with them. Their conversation was recorded at Inspection dairy at Ulleungdo and Gyechobon in Korea. Its content was more or less consistent with Japanese record Utsuryoto Ikkenroku.
    The Choseon government changed a policy leaving the island vacant to reclaim land. The government sent 54 people to the island for reclaiming land. They sometimes suffered from hunger and asked a favor of Japanese to give some food. Rewarding Japanese favor, Korean permitted Japanese logging at the island.
    Accepting the protest by Korean government, Dajokan issued a proclamation to prohibit to go to Ulleungdo at March 1883 in Japan. Next, Dajokan forcibly took all Japanese remained at the island half a year later. They were indicted. However, they were found innocent. As a result, Japanese invasion to Ulleungdo was not guilty by Japanese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