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인식 지형 도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 인식 비교 (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Risk Perception, Psychological Distance and Public Behaviors on Climate Chang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People at Large and Expert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0.06
41P 미리보기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인식 지형 도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 인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101호 / 465 ~ 505페이지
    · 저자명 : 한빛나라, 김혜정, 김영욱

    초록

    이연구는한국인의기후변화에대한인식은높은데반해기후변화대응행동실천수준은미흡하다는 평가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식과 행동 간의 불일치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배경 으로서 기존 위험 인식과 해석수준이론을 참조하였고,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 지형을 도출하였다.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지형을 비교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공중의 행 동 의도 및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인과 전 문가의 인식에서 두드러진 차이는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위험 인식, 대응 행동의 개인적 역량 평가, 정 책 이해의 과정 등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일반인과 전문가의 공통적인 부분도 관찰되었는데, 그것은 기 후변화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반인과 전문가를 막론하고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체감에 따라 달리 나 타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과 정책지지를 이끌어내는 커뮤니 케이션 전략은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에너지 정책의 관계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알리고, 심리적 거리 를 좁힐 수 있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 밖에도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 커뮤니케 이션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단서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that although the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s at its highest in the Korean society, its responsive practices or ac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estimated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is inconsistency between perceptions and behavior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pplied risk perception and construal level theory as the frameworks to investigate paradoxical incompatibility about climate change. Specifically, we explored socio-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Koreans’ decision-making processes associated with major energy issues through developing the perceptual maps of laypeople and experts. As a result, several noticeable differences have been captured in following areas: knowledge about the concept and causes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s, roles of individual people for adapt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upporting the policy. Meanwhile, laypeople and experts have also a consensus on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climate change. In the conclusion, we try to enric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climate-responsive behavioral intentions and support for low-carbon energy policy from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provide various socio-cultur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