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후변화 인식 유형에 따른 메시지 전략 탐색 : 한국인에 대한 6가지 미국인 유형의 적용과 확장 (Exploring Message Strategies Based on Climate Change Perception Types : Applying and Extending the Six Americas Framework to South Korean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12
50P 미리보기
기후변화 인식 유형에 따른 메시지 전략 탐색 : 한국인에 대한 6가지 미국인 유형의 적용과 확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8권 / 6호 / 93 ~ 142페이지
    · 저자명 : 임인재, 황애리, 금희조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촉구하는 메시지 전략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Global Warming’s Six Americas)의 변인인 태도적 유의성(attitudinal valence)과 이슈 관여도(issue involvement) 등을 한국인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 유형별로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70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군집 분석을 통해 인식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 유형은 6개의 미국인 유형(경고형, 우려형, 신중형, 무관심형, 의심형, 무시형)과 비교하여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한국인 유형은 ‘무시형 집단’, ‘무관심형 집단’, ‘신중한 우려형 집단’, 그리고 ‘적극적 경고형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또한 집단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나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은 ‘무관심형 집단’이며,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은 ‘신중한 우려형 집단’이었다. ‘무관심형 집단’은 모든 군집 중에 두 번째로 기후변화 신념이 낮은 집단이나 개인 효능감은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원이 가장 적은 ‘신중한 우려형 집단’은 기후변화에 대한 신념이나, 집단 효능감, 관여도는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지만, 개인 효능감은 집단 중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경고형 집단’은 모든 군집 중에서 기후변화 신념과 효능감, 관여도가 가장 높았으며 50대 이상이 많이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시형 집단’은 기후변화에 대한 신념, 집단 효능감, 관여도가 전체 군집 중에 가장 낮았고 개인 효능감도 두 번째로 낮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인 유형별 적합한 메시지 전략을 수립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인식 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구분과 구체적인 논의에 기여하고, 향후 기후변화 관련 캠페인이나 커뮤니케이션 전략 발굴, 정책 개발에 있어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into distinct types and to explore targeted messaging strategies that promote climate action. Drawing on the Six Americas framework, which categorizes Americans based on beliefs and involvement in climate issues, the research examines how similar categories manifest among South Koreans and identifi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nternational research often segments individuals by their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nd trends in media consumption to suggest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Although there are some examples in South Korea, the volume of accumulated studies is still limited.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outh Korean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propose targeted communication strategies.
    An online survey of 1,670 South Koreans assessed their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risk, followed by cluster analysis to distinguish types of perceptions. Several perception variables were used, including (1) confidence in the occurrence of climate change, (2) risk awareness, (3) agreement on harm to individuals, families, and future generations, (4) belief that human activity is a primary cause, (5) trust in scientists and public recognition of climate change, (6) personal and collective efficacy, and (7) engagement in climate iss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tegorized respondents into groups comparable to the Global Warming’s Six Americas framework: ‘the Alarmed’, ‘the Concerned’, ‘the Cautious’, ‘the Disengaged’, ‘the Doubtful’, and ‘the Dismissive’.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we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six types found in the American study,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South Korea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Dismissive’, ‘the Indifferent', ‘the Cautiously Concerned’, and ‘the Proactively Warning’. The Indifferent group was the largest, while the cautiously concerned group was the smallest. The Indifferent group had low overall awareness of climate change, but relatively high individual efficacy. In contrast, the Cautiously Concerned group, despite having low psychological distance from climate risks, showed moderate levels of worry and engagement, comb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autious and Concerned group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he Proactive War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efficacy, unlike their American counterparts, where efficacy was lower in the Warning group. Finally, the Dismissive group showed generally low levels of climate change belief, efficacy, and aware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dapts previous research on Americans to a Korean context, categorize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se segments, and seeks to develop effective messaging strategies for the future. By providing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climate change perception types in South Korea and bridging cultural and perceptual differences,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climate change campaigns and policy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