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유학(湖南儒學)의 한국적 지평- ‘공공지식인(公共知識人)’의 출현과 그 사회적 역할 - (A Korean Prospect of Honam Confucianism - An Appearance of Public Intellectual and Social Role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5.06
33P 미리보기
호남유학(湖南儒學)의 한국적 지평- ‘공공지식인(公共知識人)’의 출현과 그 사회적 역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57호 / 219 ~ 251페이지
    · 저자명 : 장복동

    초록

    이 글은 기호학파, 영남학파라는 도식적 분류가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변화해온 한국유학의 다양한 모습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공공지식인’을 매개개념으로 한국유학에서 호남유학의 의미를 탐색하고 그 위상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이 글은 호남유학의 시작과 끝을 아우르는 기대승과 기정진의 삶에서 공공지식인의 특성을 찾아냄으로써 호남유학의 성격을 대변하고자 한다. 여기서 공공성・비판성・도덕성・사회참여도에 근거하여 기대승과 기정진을 호남유학의 대표적인 공공지식인으로 내세운 것은 이들이 한 시대의 중심에선 이데올로그로써 끊임없이 사회적 의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시대를 예기(豫期)하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기대승은 언로의 개방을 정치의 요체로 하는 왕도정치의 온전한 모형을 제시했으며, 현대적 의미의 공론장을 구체화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기대승이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토론과 대화를 통해 공공성을 실현하는 공론장을 왕도정치 실현의 근거로 내세운 것은 민주성과 개방성을 준거로 할 때 시대적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기정진은 리(理)중심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대공무사(大公無私)의 공론, 공공성을 공적 질서의 영역에서 구현하려 했다. 이런 점에서 옳음과 그름을 분명하게 가름했던 위정척사의 사상적 토대를 제시한 기정진을 적극적 현실참여 지식인의 전형인 공공지식인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진정한 공공지식인은 공공성을 담보하면서도 전문성을 갖추고 현재의 사회적 의제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기대승과 기정진은 공공지식인으로서의 특성을 온전히 공유했다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호남유학이 과거라는 시공간에 정체되지 않고 현재라는 유동적인 시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이입되는 계기 혹은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호남유학의 과거를 현재화하고, 현재로부터 구상(構想)된 미래와 상관지음으로써 지속적이면서도 일관된 사상사적 흐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ve a start on critical mind that the schematic category of Giho and Yeongnam academic groups can not reflect properly varied appearance of korean confucianism that is ramified into several parts. Therefore, this paper aim at inquiring into the significance of honam con- fucianism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it by public Intellectual in korean confucianism. This paper represent the character of honam confucianism by finding out the trait of public intellectual in life and thought of Gidaeseung and Gijeongjin. Basing on publicity, critical ability, mora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in here Gidaeseung and Gijeongjin have been designated as public intellectual representative of honam confucianism. Because they incessantly propose social agenda as center of ideologue of one age and suggest policy alternative that expect a new era.
    Gidaeseung presents the perfect model of righteous government that make freedom of speech a key factor for politics and devotes himself to take shape public sphere in the modern sense. Gidaeseung sets forth public sphere as the foundation of righteous government to realize publicity through reasonable and critical discussion and discourse. Making criteria on the basis of democracy and openness criterion, this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imes. Gijeongjin’s philosophy based on principle oriented thinking. He tried to accomplish public opinion, publicity in public order system, putting aside private sphere. Gijeongjin proposed ideal foundation of ‘the observance of rightness and the expulsion of wickedness’[衛正斥邪]. To this point, he is contained within public Intellectual as an outspoken intellectuals engaged reality.
    A true public intellectual should be very sensitive to the current social agenda of ensuring the publicity and with professionalism. In this context, we can speak that Gidaeseung and Gijeongjin shared public intellectual attributes in its entirely. Through those discussions, we can take honam confucianism into liquid time-space of the present without being tied up the past. Ultimately we can reembody sustained and consistent stream in the history of thought by reproducing honam confucianism in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후